oum 2011. 7. 25. 11:57


<약물과 호르몬>

1. 약물과 건강

(1) 약물의 오용과 남용

약물의 오용 : 약물을 의사의 처방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잘못 사용하는 경우

약물의 남용 : 약물을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2)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

내성 :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겨 복용량이 점차 늘어나게 된다.

의존성 : 정신적(습관성), 육체적(중독성)으로 약물에 의존하게 된다.

금단 현상 : 약물을 복용하다 중지하면 몸이 떨리고 진땀이 나는 등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3) 중독성 약물의 종류와 작용

구분

주요약물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작용

각성제

니코틴, 카페인, 코카인, 필로폰

중추 신경 흥분

심장 박동, 호흡 촉진, 졸음 방지, 흥분, 몸의 긴장 상태 유지

진정제

알코올, 진통제, 수면제, 아편(모르핀), 흡입제

중추 신경 억제

심장 박동∙호흡 억제, 무력감, 우울증, 몸의 통증 완화

환각제

대마초, LSD, 헤로인

중추 신경 흥분∙억제

판단력 상실, 환청, 환각, 도취감

(4) 흡연의 피해

니코틴 : 중독성 물질, 혈압 상승

타르 : 발암 물질

일산화탄소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운반 방해

2. 호르몬

(1) 호르몬

호르몬의 특징

㉠ 항상성 유지에 관여

㉡ 미량으로 몸의 기능 조절

㉢ 생성장소와 작용하는 장소가 다름

㉣ 열에 강하며, 항원으로 작용하지 않음

㉤ 같은 종류의 호르몬은 같은 기능(즉, 종 특이성 없음)

호르몬의 분비조절

㉠ 뇌하수체 : 간뇌 아래쪽 위치, 전엽과 후엽으로 구분, 생장호르몬, 황체호르몬, 여포자극호르몬 분비

㉡ 시상하부 :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이 만들 호르몬의 종류와 분비 시기를 결정하는 곳

(2) 내분비선 : 호르몬을 분비하는 샘

뇌하수체 전엽

㉠ 생장호르몬 : 근육이나 뼈의 발달을 도와 몸의 생장 촉진

• 과다 분비 : 거인, 성인이 된 후 분비되면 말단비대증

• 소량 분비 : 난쟁이

㉡ 갑상선호르몬 : 갑상선의 발육 자극, 요오드의 흡수를 증가시켜 티록신의 분비 촉진

㉢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에 자극을 주어 부신의 발육과 부신 피질 호르몬의 분비 촉진

㉣ 여포자극호르몬 : 여자 - 난소의 여포를 성숙

남자 - 성자의 생성 촉진

㉤ 황체 형성 호르몬 : 배란을 촉진, 여포를 황체로 만듬, 남자에서는 남성호르몬의 분비 촉진

㉥ 젖 분비 자극 호르몬(프로락틴) : 출산 초기에 분비되어 젖샘의 발달과 젖의 분비 촉진

뇌하수체 후엽 : 시상하부에서 합성된 호르몬을 저장후 분비

㉠ 항이뇨 호르몬(바소프레신)

• 혈관벽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킴

• 신장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 - 오줌의 양 감소

㉡ 옥시토신 : 자궁 수축 호르몬이라고도 하며, 자궁의 근육을 수축시켜 분만 유도

갑상선과 부갑상선

㉠ 갑상선 : 요오드를 함유한 티록신을 분비 ▷ 물질대사 촉진

㉡ 부갑상선 : 파라토르몬이라는 호르몬 분비 ▷ 체액 속의 칼슘과 인의 대사 촉진

부신 : 신장 위에 위치하며, 피질과 수질로 구분

㉠ 부신피질 : 뇌하수체 전엽과 피드백 작용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신장의 세뇨관에 작용 - 나트륨과 칼슘의 양 조절

• 당질 코르티코이드 : 글리코겐과 아미노산을 당화 - 혈당량 증가

㉡ 부신수질 : 아드레날린 분비 - 혈압 상승, 혈당량이나 심장 박동수 증가

이자 : 소화효소 분비 기관

㉠ 글루카곤 : 혈당량이 낮을 때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함으로써 혈당량 증가

㉡ 인슐린 : 혈당량이 높을 때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합성되는 것을 촉진하여 혈당량 감소, 부족하면 당뇨병 발생

생식소

㉠ 정소(남성) : 안드로겐을 분비 ▷ 남자의 제2차 성징을 발현시킴

㉡ 난소(여성)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

• 에스트로겐 : 월경∙배란 일으킴, 골반과 가슴의 발육을 촉진시켜 여자의 제2차 성징을 발현시킴

• 프로게스테론 : 배란을 억제, 젓샘의 발육 촉진, 태반 형성과 유지 등 임신에 관여

(3) 호르몬의 분비 이상에 의한 질병

거인증과 왜소증 : 생장호르몬이 과다 분비 ▷ 거인, 너무 적게 분비 ▷ 난장이

말단 비대증 : 성인이 된 후 생장호르몬의 과다 분비

갑상선 비대증 : 티록신의 부족으로 갑상선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자극을 계속 받아 비대해짐

당뇨병 : 인슐린 결핍 또는 글루카곤 과다로 혈당량이 높아져서 오줌속에 포도당이 섞여서 배출됨

(4) 항상성 유지

항성성이 유지되는 원리(티록신의 분비 조절) : 호르몬의 양이 필요량보다 많으면 조절 중추에 의해 분비가 억제되고, 필요량보다 적으면 분비가 촉진됨으로써 자동으로 조절

혈당량 조절

㉠ 고혈당일 때 : 인슐린 분비 촉진 →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 → 혈당량 감소

㉡ 저혈당일 때 : 글루카곤∙아드레날린 분비 촉진 →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 → 혈당량 증가

출처 : http://www.escinfo.com/zbxe/m2uni0503


고등학생때 조금 햇갈려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