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ometry.안경학/Eye Exams
독서자세와 조명
oum
2011. 7. 26. 11:18
[ 독서자세 ]
1. 독서를 하면 눈의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 눈이 마르고 어두운 불빛에서는 책을 눈 가까이 하므로 눈의 조절근육이 피로하여 피로감과 통증을 눈에 느끼게 됩니다.
2. 엎드리거나 누워서 책을 볼 때도 책을 가깝게 보게 되므로 눈이 쉽게 피로해집니다.
3. 독서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는 책을 35-50 cm 정도 떨어져서 읽는 것이 좋고 목과 어깨의 꾸부림에 주의합니다.
4. 흔들리는 차안에서는 가능한 한 독서를 안 하는 것이 좋고 1시간 독서 후 10분 쉬면서 휴식(눈운동 실시)합니다.
5. 책을 읽으면서, 자주 시선을 창밖으로 보냈다가 방안을 둘러본다는 것은 시력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 조명에 신경쓰자 ]
1. 책을 읽을 때는 방안 전체 조명과 함께 책상, 작업대의 부분 조명을 동시에 설치해야 눈에 피로가 덜 쌓이고 근시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직접 조명보다는 간접 조명이, 형광등보다는 백열전구 (자연 빛에 가까움)가 눈의 피로를 덜어줍니다.
3. 조명을 밝게 하되 책에 빛이 반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조명의 방향이 책에 비스듬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전체 조명은 100∼200룩스가 적당하고, 부분 조명은 보통 가정의 평균 조도인 300∼500 룩스 정도가 적당합니다.
5. 중요한 것은 시야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6. 오른손잡이라면 자신의 왼쪽에, 왼손잡이라면 자신의 오른쪽에 조명기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7. 책이 시선과 직각이 되도록 하고 전기스탠드를 켤 때는 빛이 직접 반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가능하면 갓을 달아 빛이 직접 눈을 자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직접 조명은 시력감퇴는 물론 눈꺼풀 처짐과 떨림 현상, 충혈 등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9. 방의 불은 끄고 책상만 환하게 비추거나 TV를 볼 때 방 안을 어둡게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10. 명암 차이가 클 경우 망막에서 밝을 때 색깔을 감지하는 원추세포와 어두울 때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가 교대로 작동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www.eyeclean.co.kr/view.asp
1. 독서를 하면 눈의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 눈이 마르고 어두운 불빛에서는 책을 눈 가까이 하므로 눈의 조절근육이 피로하여 피로감과 통증을 눈에 느끼게 됩니다.
2. 엎드리거나 누워서 책을 볼 때도 책을 가깝게 보게 되므로 눈이 쉽게 피로해집니다.
3. 독서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는 책을 35-50 cm 정도 떨어져서 읽는 것이 좋고 목과 어깨의 꾸부림에 주의합니다.
4. 흔들리는 차안에서는 가능한 한 독서를 안 하는 것이 좋고 1시간 독서 후 10분 쉬면서 휴식(눈운동 실시)합니다.
5. 책을 읽으면서, 자주 시선을 창밖으로 보냈다가 방안을 둘러본다는 것은 시력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 조명에 신경쓰자 ]
1. 책을 읽을 때는 방안 전체 조명과 함께 책상, 작업대의 부분 조명을 동시에 설치해야 눈에 피로가 덜 쌓이고 근시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직접 조명보다는 간접 조명이, 형광등보다는 백열전구 (자연 빛에 가까움)가 눈의 피로를 덜어줍니다.
3. 조명을 밝게 하되 책에 빛이 반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조명의 방향이 책에 비스듬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전체 조명은 100∼200룩스가 적당하고, 부분 조명은 보통 가정의 평균 조도인 300∼500 룩스 정도가 적당합니다.
5. 중요한 것은 시야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조명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6. 오른손잡이라면 자신의 왼쪽에, 왼손잡이라면 자신의 오른쪽에 조명기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7. 책이 시선과 직각이 되도록 하고 전기스탠드를 켤 때는 빛이 직접 반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가능하면 갓을 달아 빛이 직접 눈을 자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직접 조명은 시력감퇴는 물론 눈꺼풀 처짐과 떨림 현상, 충혈 등 자율 신경계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9. 방의 불은 끄고 책상만 환하게 비추거나 TV를 볼 때 방 안을 어둡게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10. 명암 차이가 클 경우 망막에서 밝을 때 색깔을 감지하는 원추세포와 어두울 때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가 교대로 작동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www.eyeclean.co.kr/view.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