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을 찾는 방법
축을 찾는 방법(각각의 주경선이 망막 반사빛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면 난시안으로 생각하고 이때 나타나는 4가지 현상)
➀ 깨짐현상(Break phenomenon)
입사광선이 난시축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빛띠와 반사띠의 각이 틀린 현상. 이때 손잡이를 회전시켜 난시축과 빛띠를 일치시키면 이런 현상이 없어진다.
➁ 비틀림 현상(Skew phenomenon)
손잡이의 슬리브를 회전시켜 축을 찾음. 확실하지 않으면 빛띠를 조금씩 움직여 보라. 만약 깨짐현상이 확실하지 않으면 이 상태에서 약간 움직여 보면 빛띠는 수평으로 움직이는데 반사띠는 사선으로 움직이는 현상. 검영 방향과 망막반사 선조광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
➂ 넓이 현상(Thickness phenomenon)
빛띠가 난시축과 일치할 때 반사띠의 넓이가 가늘고 빛나며 어긋날수록 흐리고 넓어진다.
➃ 밝기 현상(Intensity phenomenon)
빛띠가 난시축과 일치할 때 반사띠의 밝기가 가장 밝고 어긋날수록 어두워진다.
Retinocscope는 난시 이상 안의 측정을 위해 선조방향을 특별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면렌즈만 사용하여 양 축을 중화시킬 수 있으며 검사결과는
• 선조광선을 90
• 선조광선을 180
이때 검사거리가 50cm 이면
180
90
순 검영값은= Sph + 1.00Dt = Cyl -4.00Dt Ax90
(6) 눈의 조절 유무에 따른 검영법
➀ 정적 검영법 - 원용안경처방에 사용, 조절중지
➁ 동적 검영법 - 근용안경처방에 사용, 조절력 개입
(7) 중화점이 얼마나 멀리 있나 판단
➀ 속도 : 원점에서 멀리 있으면 이동속도가 느리고 가까울수록 빠르다. 굴절이상이 클 경우 느리고, 적을 경우 빠름.
➁ 밝기 : 멀리 있을 때 희미하고, 가까울수록 밝아진다.
➂ 폭 : 멀리 있을 때 반사 폭이, 좁고 가까울수록 넓어진다.
(8) 검영법 준비사항
a. 시표 : 5m 전방을 주시하고 0.1시표(꼬마전구) 또는 더 큰 시표를 사용.
b. 정확한 검사거리(working distance)를 확인.
c. 선조광원의 입사광선속은 피검사자의 시선과 평행하도록 눈높이를 맞춘다.
d. 우안을 측정할 때는 오른손에 검영기를 쥐고 검사자의 오른쪽 귀를 통해서 피검사자의 시선을 시표로 유도. 좌안을 측정할 때는 왼손에 검영기를 쥐고 검사자의 왼쪽 귀를 통해서 피검사자의 시선을 시표로 유도.
e. 축동방지를 위해 검사실의 밝기는 반암실 상태를 유지.
(9) 검영법 검사시 유의사항
➀ 피검사자 동공의 크기
동공내의 선조광상의 움직임을 관찰할 때 동공의 크기가 너무 크면 눈의 구면수차의 영향으로 동공 주변부와 중심부의 반사상의 움직임이 다름: 중심부의 움직임만 신경을 써서 검영. 직경 3~4mm의 핀홀을 장입하여 주변부 상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도록 할 것.
빛의 밝기에 민감하여 동공의 직경이 극히 작을 경우는 선조광의 밝기를 줄이거나 검사거리를 짧게 하여 측정.
② 가위운동(scissors reflex movement)
동공내 반사상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말함. 눈의 구면수차가 클 때, 검영기의 선조광의 입사방향의 기울기 다를 때, 부정난시와 원추각막. 정난시에서는 이 가위운동 현상은 한 주경선 방향에 대해서만 발생, 검사거리를 짧게하여 검영. 실제 가위운동이 발생하는 지점은 중화점에 근접되었을 때이므로 명확하게 동행으로부터 가위운동에 이른 검사렌즈의 굴절력과 명확하게 역행하다가 가위운동에 이르는 검사렌즈의 굴절력의 중간 굴절력을 중화점.
③ 안모형 렌즈통에 의한 연습
방법 : 1) 통의 눈금 2) 받침대 도수 교정도수 = 1) - 2)
a. 중심와에 검영할 것.
b. 조절의 이완을 막기 위해서 원방시 시킬 것(원용 처방시)
c. 피검사자의 전방에 반사체를 두지 말 것.
d. 구면수차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Pinhole 3~4mm를 사용해서 검사.
e. 검사거리의 오차를 주의할 것.
f. 눈과 판부렌즈의 거리를 둘 것(10~15mm)
g. 측정중에 눈을 찌푸리지 말고 머리는 정위치에 두고 행할 것.
h. 산동제를 사용해서 검사할 경우는 구면수차가 발생하므로 pinhole을 사용.
I. 사시안의 검영은 한쪽 눈은 차폐 또는 prism lens로 고정시키고 검사.
j. 강도의 원시, 근시는 발산광선을 수렴광선으로 전환하여 검사.
k. 판부렌즈는 정간거리만큼 유지.
l. 모의안으로 충분히 연습.
어렵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