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m 2011. 7. 21. 11:44

 

검안경(Ophthalmoscope)

1. 목적

눈속 특히 망막, 시신경 유두, 황반부, 초자체 등의 안저 관찰을 목적으로 한 기기로 직상검안경과 도상검안경이 있다.

직상경의 장단점을 요약하면

① 정립상으로 맺혀서 판독이 쉽다.(망막자체 관찰)

② 배율이 정시안에서 10~ 15배, 근시안에서는 더욱 높다.

③ 안저의 출혈이나 반점 등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정밀 진단).

④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휴대하기에 편하다.

⑤ 가격이 싸다.

⑥ 관찰 범위가 좁다.(10-12도)

각막반사의 세기 및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변수들?

① 조명축과 관찰축이 이루는 각 : 두 축이 이루는 각은 작을수록 좋다(만일 이각이 증가하면 반사점의 변위도가 증가하는 반면, 망막에서 조명범위와 관찰범위의 중복부위가 감소됨.

② 검사자와 환자 사이의 거리 : 가까울수록 분리도가 커져 각막반사가 적어져 좋음. 10cm 이내가 좋음

③ 조명계 내부에 있는 구경스톱의 크기 : 황반부를 쉽게 검사하려면 구경이 작을수록 좋다. 구경이 크면 망막에 조명되는 빔의 횡단면적이 커져 빛의 양이 많아짐.

④ 관찰구의 크기 : 관찰구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각막반사의 흐린상의 크기가 감소(거리가 가까울수록 각막반사도 감소). 주로 3-4mm임.

⑤ 조명범위와 관찰범위의 일치도 : 용이한 안저 검사를 위해 조명범위와 관찰범위를 일치시킬 것.

신경조직층의 진단 등에는 녹색 필터(green filter)를 사용

❋ 조명계에 녹색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 망막혈관과 주위 배경사이의 대비 contrast를 증가

• 망막의 병변부위는 검게 , 맥락막의 병변부위는 회색.

✱직상검안경 구조

➀ 조명계 : 광원, 집광렌즈, 조리개, 필터, 투영렌즈, 반사기기

➁ 관찰계 : 집속렌즈와 관찰구

➂ 굴절력 범위 ~ 45D

도상 검안경의 장단점은

① 구조가 직상경에 비해 복잡하다.

② 휴대가 불편하므로 테이블에 고정해야 한다.

③ 상은 상하 좌우가 바뀌어 나타나므로 판독이 어렵다(도립상). 망막상을 관찰.

④ 관찰범위가 넓다(약 60도 까지 가능) : 초기 진단용

⑤ 배율이 낮다.

⑥ 가격이 비싸다.

⑦ 각막반사를 제거할 수 있다.

✱도상검안경 렌즈의 기능

① 관찰계의 입사동과 조명계의 출사동의 상이 결상되게 함

② 검안경렌즈와 검사자 사이에 있는 어느 한 점에 환자의 안저상이 결상되게 함

※ 검안경렌즈의 굴절력이 높을수록 배율은 감소, 렌즈의 구경이 크면 관찰범위가 커짐.

✱도상검안경의 구조

도상검안경이 직상검안경과 다른 점은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안저를 직접 보는 것이 아니고 검안경렌즈에 의한 피검사자 안저의 상을 관찰하게 되는 것.

➀ 검안경 렌즈의 굴절력 범위는 +13D ~ +31D이다.

➁ 검안경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렌즈의 굴절력이 큰)배율이 작은 반면 시계는 넓다.

➂ 검안경 렌즈와 환자의 동공사이의 거리는 검안경 렌즈의 초점거리와 같다.

➃ 피검사자의 동공에 조명계의 구경과 초점거리로서 결정된다.

➄ 관찰 범위는 검안경렌즈의 구경과 초점거리로서 결정된다.

tan = D/f' (D, f' 는 검안경 렌즈의 구경 및 초점거리)

즉, 검안경 렌즈의 구경이 크고,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관찰 범위(시계)는 넓어진다.

예) 구경이 40mm이고 굴절력이 +18Dprt인 검안경 렌즈가 사용되는 도상검안경에서 검안경렌즈와 피검사자의 동공까지의 거리는 검안경렌즈의 초점거리와 같으므로 f' = 1/D = 1/18 X 1000 = 55.6mm

관찰범위는 : tan = D/f' = 40/55.6 = 0.72, = 3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