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경(Telescope)
목적 ; 물거리가 큰 물체를 자세히 볼 때 맨 눈으로 보는 것보다 큰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확대된 상을 만드는 것. 또 특수 목적으로 물체를 직접 볼 수 없을 때(예; 잠망경)나 위험한 장소를 피해서 물체를 거리를 두고 관찰할 때(예; 방사선용 periscope)도 사용.
배율(M) = - f1/ f2(f1 :대물렌즈 초점거리, f2 : 접안렌즈 초점거리), <->의미?
1) Kepler's type 망원경
∴ f1> 0, f2> 0, M < 0 (도립)
2) Galileo's type 망원경
∴ f1> 0, f2< 0, M > 0 (정립)
통의 길이 = 대물렌즈의 초점거리 + 접안렌즈의 초점거리
입사동과 출사동의 지름
망원경의 입사동은 대물렌즈 L1 자체이다. 출사동은 접안렌즈 L2에 의해 L1의 상이다. 입사동의 지름을 D1, 출사동의 지름을 D1′로 하면
D1/D1′ = f1/ f2
M = D1/D1′ ∴ D1′ = D1/M
예) 망원경에 15×30로 표기 되어 있다면 배율은 15배, 대물렌즈의 지름은 30mm라는 의미이므로 eye ring의 지름은 2mm.
현미경(Microscope)
목적 ; 확대경과 같으나 확대경은 배율이 최고 40배 정도이므로 더 자세히 보기 위해서 더 큰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확대된 상을 만드는 것.
원리 ; 볼록렌즈(대물렌즈)로 물체의 확대 실상을 만들고 이 상을 물체로 하여 확대경(접안렌즈)의 물측 초점 안쪽에 놓아 더욱 확대된 허상을 만드는 것(케플러 type과 같음).
배율(M) = - (d × l)/(f1× f2) = -25 l /(f1× f2) = -(l / f1)× (25 / f2) <->의 의미는?
대물렌즈에 10×, 접안렌즈에 4× 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것은 각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