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ometry.안경학/Eyeglasses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oum 2011. 7. 21. 13:14

제 4 장.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1) 밀도(Density)

→ 부피에 대한 질량의 비를 밀도(g/cm³, kg/m³)라고 하며, 물의 밀도에 대한 다른 물체의 상대밀도를 그 물체의 비중(specific gravity) 라한다. 밀도는 재질의 강도 와 굴절율 및 함수율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HEMA 나 그보다 더 친 수성인 monome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경우 밀도는 함수율 증가에 따라 감 소하며, 소수성의 monomer를 포함하면 낮은 함수율을 가진 거의 단단한 형 태의 재료로 대단히 높은 밀도를 가진다.

Hard C.L ; 1.19 soft C.L(W.C=30-40%) ;1.13-1.16 soft C.L(W.C=70%) ; 1.07 2) 굴절율(Refractive index:n)

→ 재료의 굴절지수가 높을수록 광학의 질도 우수해지며, 이것은 C.L의 도수가 굴절 율과 비례하며, Power curve 와 Base curve 차이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얇은 렌 즈를 만들 수 있다.

soft C.L의 경우, 굴절율은 재질에 따라 약간 다르나 일반적으로 밀도와 같이 함 수율에 반비례한다.

→ Hard C.L ;1 49 Soft C.L(W.C=30-40%) ; 1.43-1.46 soft C.L(W.C=70%) ; 1.39

3) 산소투과성(Oxygen permeability; Dk)

→ 각막은 눈물, 윤부혈관, 결막혈관, 눈물에 녹아있는 대기중의 산소로부터 산소 를 공급. 개검시 산소분압은 155mmHg이며 폐검시는 상검결막의 혈관으로부터 산소를 공급 받으므로 각막 표면의 산소분압은 55mmHg로 떨어진다. 렌즈의 재료 가 높은 산소투과성을 가지면 보다 안전하며 좋은 착용감을 갖게된다.

soft lens의 산소투과성은 재질의 구조내에 pore size가 영향을 줄 것이며, hydrogel soft C.L의 경우 그 재질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로 인해서 산소투과 성을 가진다. 이것은 주로 함수율과 렌즈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산 소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L를 얇게하고 함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 어야한다. soft lens에서 가장 높은 산소투과성은 약 40으로 RGP 렌즈에서 가장 높은 산소투과성의 약25%이다. 산소투과계수와 렌즈의 두께에 의해 산소투과도가 결정되는데, 산소 투과도는 C.L 두께에 반비례한다.

※ 산소투과도 결정은 solubility 와 diffusion이다.

D : diffusion coefficient, 렌즈재질 자체의 산소에 대한 확산계수:cm2/sec

K : solubility coefficient, 렌즈재질의 산소 용해계수: ㎖(O2)/cm3․mmHg

즉 Dk = D x k

Dk = 산소투과계수 ; 10-11 (cm x ㎖(O2)/(sec x ml x mmHg)

4) 산소운반율(Oxygen transmissibility ; DK/t)

→ 콘택트렌즈를 통해 전달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산소투과성을 콘택트렌 즈의 중심두께로 나눈 값, 10-9 (cm x ㎖O₂)/(sec x ㎖ x mmHg)

0.1mm

산소전달률 = 산소투과성 × -----------------------

콘택트렌즈의 중심두께(mm)

☛ 동일한 재질로 만든 콘택트렌즈라도 두께가 두꺼우면 산소투과성은 같더라도 산소 전달률은 낮아진다.

5) 당량산소백분률(E.O.P:Equivalent oxygen performance)

→ 렌즈의 산소투과도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으로 EOP가 사용, 대기중 산소의 % 농도로 표시한 값으로 렌즈가 산소를 다 투과시키면 20.9% 가된다. 즉 각막과 콘택트렌즈사이의 눈물에 녹아있는 산소량을 대기중의 산소의 %로 표시한 값이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막이 대기 중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산소량은 20.9 %이고, 눈을 감은 상태는 대기중의 산소가 누액에 녹지 못하 므로 결막으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데 이때의 산소량은 약 8% 이다. 각막부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EOP가 9.9%(DK/t=24.1)이상이어야 하며 밤중에 각막이 팽 윤 되지 않으려면 17.9% (DK/t=87) 이상 이어야 한다.

콘택트렌즈가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각막표면에 얼마만큼의 산소가 도달하는가를 나타내므로 실제 임상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6) 함수율(water content)

물의 무게 × 100

함수율(%) = -----------------

soft lens의 무게

☛ 50%를 기준으로 미만은 저함수, 이상은 고함수로 분류. 함수율이 증가하면 렌 즈재질의 강도와 굴절률은 감소하고 침착물이 잘 생기며 산소투과성과 렌즈재 질의 구멍크기는 증가.

7) 습윤성(wettablility)

→ 고체의 표면에 액체를 한방울 떨어뜨렸을 때 액체가 표면에 퍼지는 정도. 한방 울의 액체표 면과 고체표면이 이루는 각도를 접촉각이라한다. 친수성이 강할 수록 0°, 소수성이 강할수록 180°에 가깝다. 접촉각이 0° - 90° 사이면 친수성 (hydrophilic)으로 간주, PMMA는 60° silicone 110°

8) 침투성(permeability)과 다공성(porosity)

→ soft lens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분포, 분자구조의 배열상태가 느슨 해지면 구멍의 크기가 커져서 잘 침투. 분자구조 사이의 구멍의 크기로 렌즈의 침 투성과 다공성을 결정.

9) 렌즈에 작용하는 역학적 요인

a. 액체인력(fluid attraction)

→ 누액은 액체인력에 의해 표면장력이 생기는데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이 축소 되려고 하는힘이다. 렌즈와 각막사이에서 누액이 갖는 표면장력은 누액층의 두 께에 반비례한다.

flat fitting 의 경우 렌즈밑의 중심부보다 주변부에서 누액층이 가장 두꺼워지 고 표면장력이 낮아져서, 렌즈가 잘움직인다. 반면 steep fitting의 경우 중심부 에서 누액층이 가장 두꺼워지고 표면장력이 가장 낮은 상태가 된다. 결과 렌즈 가 움직이기 쉬운 상태가 되지만, 실제로 렌즈가 잘 움직이지는 않고 일반적으 로 중심잡기가 양호해진다.

b. 중력(gavity)

C.L의 중력중심은 전면쪽으로 이동할수록 렌즈가 각막 중심위에 위치하기가 어려워진다. 플러스렌즈에서는 굴절력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직경이 감소하거 나 렌즈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B.C가 flat 해지면 중력중심이 렌즈 전면쪽으로 이동한다. 마이너스 렌즈는 굴절력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두께가 감소하거나 B.C가 steep 해지면 중력중심이 렌즈의 후면쪽으로 이동

c. 안검장력

상안검과 C.L와의 관계, 상안검이 렌즈에 가하는 힘이 강하면 렌즈가 심하게 움직인다.

d. 마찰력(frictional force)

C.L와 각막사이에 존재하는 눈물의 점도(viscosity)에 의해 생기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C.L가 각막위에서 정지할수 있다. C.L가 각막위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 지시키려면

- 렌즈의 광학부직경이나 전체크기를 증가

- B.C의 곡률반경을 짧게

- 주변부커브의 곡률반경을 짧게

- 렌즈의 두께를 얇게

e. 렌즈의 굴절력

+굴절력의 렌즈인 경우 중심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 로 쳐진 상태

f. 기타

각막팽윤은 착용후 3시간후에는 감소하지만 일반적으로 착용 3시간후 8% 팽 윤이 나타나면 tight fitting 이 원인, 10%이상일때는 각막에 산소공급이 완전 히 막혔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