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압계(Tonometer)
1) 함입안압계(Indentation tonometer)
안압(IOP) ∝ 함입된 정도(mm) 종류 : Schiotz형
2) 압평안압계(Applanation tonometer)
안압(IOP) = 안압계의 무게(g)/압평된 면적(mm2)
종류 : ① Goldmann 안압계 ② Applanometer ③ Tonomat 안압계 ④ Mackay- Marg 안압계 ⑤ Tonair 안압계 ⑥ Pneuma 안압계 ⑦ AO사의 비접촉형 안압계
✱안압측정법
1) 촉진법 : 손으로 안구를 촉진(정성적 검사)
2) manometer : 임상 해부학적으로 가장 정확함. 안내압 측정시 사용. 일반환자는 사용 불가.
정상 안압 : 평균 15-16mmHg
21mmHg 이상이면 안압 상승(녹내장, 급성 녹내장), 10mmHg 이하이면 안압강하(안구위축, 심한 탈수, 당뇨, 망막맥락막 박리, 안구 천공)
확대경
목적: 가까이 있는 작은 물체 혹은 작은 부분을 자세히 보기 위해서 육안으로 보는 것 보다 확대경을 사용하면 큰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다. 확대된 상을 만드는 것을 목적.
확대경의 배율(M) = 250/f, f:볼록렌즈의 초점거리(mm), 250:명시거리
비정시안이 육안으로 확대경을 사용할 경우,
1) 근시안의 경우
원점거리 a가 250mm보다 짧은(원점굴절도 A가 -4.00D보다 강한)경우로 d=250 대신
d=-a이다. Mf = -a/f = 1000/(-A․f) 그 비율은
(근시Mf)/(정시Mf) = -a/f ÷ 250/f = -a/250, 또는 1000/(-A․f) ÷ 250/f = - 4/A
2) 노안의 경우
근점거리 b가 250보다 긴 경우로 d=250 대신 d= -b이다.
배율 Mf = -b/f = 1000/(-B․f) 그 비율은
(노안Mf)/(정시Mf) = -b/f ÷ 250/f = -b/250, 또는 1000/(-B․f) ÷ 250/f = - 4/B
∴ 배율의 순서 : 노안> 정시>근시
배율의 한계
배율을 높이려면 초점거리를 작게 하면 좋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곡률을 크게 해주어야 한다. 이는 눈의 광축에 극히 가까운 근축광선에 대해서는 맞춰지지 않는다. 또한 수차에 의한 상의 흐림이 커진다.
접안렌즈
1) Ramsden 접안렌즈(Ocular)
두 개의 초점거리가 같은 평복록렌즈를 결합시킨 것. 시계 stop이 전방에 있는 외초점형이다. f1 = f2, 간격 d= 초점거리의 3/4 ~ 2/3, f1 = f2일 때 색수차가 잘 제거됨.
시계(視界)는 35도, 지상망원경으로 사용.
2) Huygens ocular
두 개의 크라운 유리로 만든 평볼록렌즈를 같이 볼록면을 입사광선을 향해 결합시킨 것. 시계 stop이 중간에 있는 내초점형이다. 시계는 45도, 현미경에 사용.
f1′: d : f2′= 3 : 2 : 1 d= (f1′+ f2′)/2
3) 지상용 접안렌즈(Terrestrial ocular)
대물렌즈에 의해 도립상으로 바꾸어진 것을 확대하고 시각을 크게 하는 것이 접안렌즈의 역할이며 동시에 상을 정립시키는 것이 지상용 접안렌즈이다.
4) Knellner 접안렌즈
Ramsden 접안렌즈를 몰색렌즈로 한 것. 굴절률이 높고 분산능이 큰 평볼록렌즈와 굴절률이 낮고 분산능이 작은 양볼록렌즈를 결합시킨 렌즈를 접안렌즈로 하고 색수차와 상의 왜곡수차를 제거한 것. 시계는 50도, 고급 망원경에 사용.
5) Abbe식 직시(orthoscope)접안렌즈
정상형(整像型)이라 하며 상의 왜곡이 작은 것과 넓은 시계(45도), 고배율이 특징. 힘이 센 측거기(測距機)에 사용.
6) Elflat식 접안렌즈
광각용(廣角用)으로 쓰이며 시각은 70도로 매우 넓다.
7) 고급 접안렌즈(위 우측)
사진용의 비점수차를 보정한 광학계(anastigmat)와 닮았다.
'Ocular Optics.안광학 > Equipments.광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젠트스크린(Tangent Screen) (1) | 2011.07.21 |
---|---|
시야계(Field Equipment) (0) | 2011.07.21 |
망원경,현미경 (0) | 2011.07.21 |
※ 콘택트렌즈 피팅 전의 세극등 검사법 (0) | 2011.07.21 |
특수검사법 (0) | 201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