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수차
* 무엇보다도 출제가 매년 되는 분야임..
. 자이델(Seidal)의 5수차
-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 상면만곡, 왜곡현상
. 렌즈의 수차
- 렌즈의 구경이 클수록 상이 선명하게 맺지 못하고 희미하거나 일그러지게 보이는 현상.
1. 구면수차 ( = 축수차 ) : 렌즈의 구면부로 입사하는 광선은 중심부에 입사하는 광선에 비해 강하게 굴절되어
동일점에 상을 맺지 못하고 최소착락원 같이 맺혀진다
안광학계에서 구면수차는 이른 바 " 야간근시 " 로 나타난다. 렌즈의 면이 비구면인 서로 다른 2개의 성질의
렌즈를 합성하여 보정할 수 있다.
* 단렌즈에서 구면수차가 최소가 되는 렌즈의 형상을 찾는이론?
Coddington 이론
2. 코마수차 : 구면수차가 제거된 렌즈에서 광축으로부터 떨어진 물점에서 경사지게 나오는 광선중에서 렌즈의
주변부를 지나는 광선은 초평면에서 중심부를 지나는 광선과 다른 점에 초점을 맺어 혜성의 꼬리와 같은 상을
만든다. 이 수차가 완전히 제거된 렌즈의 형상은 동시에 구면수차도 최소가 된다.
* 구면수차가 제거되었을 때 코마수차도 동시에 제거될 조건식은?
정현조건
* 렌즈 계의 수차 가운데 광축상의 물점에 대해서 만들어지는 수차의 종류는 ?
구면수차, 코마수차
3. 비점수차 : 구면수차와 코마수차를 보정한 렌즈에 비스듬히 입사하다가 사광선이 경선에 따라 굴절력이 달라
져 난시 상태가 되는 것.
일반적으로 다른 수차보다 안경렌즈에서 무시할 수 없으므로 먼저 이 수차를 제거해야 한다.
이 수차를 제거한 렌즈가 "언애스티그매틱" 이다.
* 비점수차를 없애는 조건식 ?
- Zinken - Sommer의 조건
* 비점수차 제거방법 ?
- 두 장의 얇은 렌즈를 적당한 간격으로 띄어 놓는다.렌즈 또는 렌즈계에 조리개를 설치한다
4. 상면만곡 : 광축에 수직인 평면의 상이 보통 평면으로 되지 않고 광축에 직교하는 회전곡면이 된다.
* 렌즈의 비점수차가 제거되고 동시에 상면이 휘어지지 않고 평면이 될 조건식 ?
페츠발조건식
5. 왜곡수차 : 강도의 볼록, 오목렌즈의 주변부를 통과하는 광선이 초점거리가 중심부 광선과 틀리므로 물체의
상이 곡면에 생기는 수차로 직선이 곡선으로 왜곡되어 보인다.
* 왜곡수차의 보정방법은 ?
중앙에 구경조리개를 위치시키고 양측에 똑같은 렌즈계를 대칭 시킨다.
◈ 안경광학 단원구성
: 안경광학은 교재마다 다르지만 크게 두 권으로 나누어져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생소한 용어와 공식이 많이 등장하므로 차분하게 꼼꼼하게 하나씩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안광학계에서 쓰이는 용어(초점,주점,절점)를 정리해서 공식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안기능 검사에 대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묶어서 정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