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hthalmology.안과학/Problems & Disea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2:53

녹내장


# 녹내장

․실명의 중요 원인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진행성 시신경병증

- 방수 생산과 유출

․방수의 교통 : 동공 및 유리체

․방수 용적 : 0.2ml

․혈청과 비교하여 방수는 Na+는 적고 Cl-는 많다.

․정상안압 : 10~21 mmHg(평균 15mmHg), 양안차 3mmHg이하

***) 안압은 연령증가에 따라 높아짐 (신생아 : 평균 10.27mmHg 이하)

※ C/D ratio : cup/disc ratio

․방수생성

1. 정상안 : 분당 약2-3㎕ 생산 (모양체의 무색소상피)

2. 일중 변동 생산량 : 기상 시 가장 많고 저녁에 가장 적음

3. 안압의 일중 변동치 : 평균 3.8mmHg

․방수 유출 경로

1. 섬유주 유출(90%) : 모양체상피 → 후방 → 동공 → 전방 → 전방각 섬유주 → 쉴렘관 → 집결관 → 방수정맥 → 상공막정맥 → 결막정맥총

2. 포도막-공막 유출(10%) : 전방 → 모양체 공막사이 → 맥락막 혈관 흡후, 공막 내

- 방수유출에 관계된 해부생리

․전방각 : 쉬발베고리, 모양체 앞면, 홍채근부로 이루어진 구조

․쉬발베고리 : 섬유주의 끝단을 연결한 선

․섬유주 : 쉬발베고리에서부터 공막극까지 연결된 섬유주판으로 구성

․공막극 : 모양체근의 하나인 종주근의 앞쪽부분과 연결

모양체근이 수축 → 섬유판의 판막 열림 → 방수유출 증가

․연령에 따른 전방각의 변화 : 생리적 동공폐쇄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

․안압상승에 따른 전방각의 변화 : 방수유출 저항에 의한 개방각 녹내장

- 녹내장의 진단과 시야변화

․녹내장의 진단

1. 안압이 21mmHg 이상

2. 안압이 상승되지 않았더라도 두 눈에서의 안압차가 5mmHg 이상일 때

3. C/D비가 0.4 이상일 때

4. 두 눈의 C/D비가 0.2 이상일 때

5. 녹내장 가족력이 있을 때

6. 급성 녹내장의 증상이 있을 때

․녹내장의 시야변화

1. 중심부근암점 : 주시점에서 10-20도 사이에 암점 발생

녹내장의 초기 시야장애

2. 비측계단 : 코쪽에서 발생, 녹내장 확증

3. 활모양암점 : 주시점에서 귀쪽으로 10-20도 사이에 고리모양암점

4. 부채꼴 시야결손 : 귀쪽

[출처] 안과학 정리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l5217&logNo=120113517180&viewDate=&currentPage=1&listtype=0&userTopListOpen=fals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undefined
작성자 닥캐삭


'Ophthalmology.안과학 > Problems & Disea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공반사와 시로질환  (0) 2011.07.21
시신경 질환  (0) 2011.07.21
망막질환  (0) 2011.07.21
유리체 질환  (0) 2011.07.21
포도막 질환  (0) 201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