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안경의 역사 ■ 김성일의 안경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안경은 84년도에 발견된 것으로, 1590년도에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온 조선시대 김성일의 안경이다. 이 안경이 발견됨에 따라 , 우선 임진왜란 중에 안경이 전래되었다는 주장이 수정되고 , 최소한 임진왜란 전에 안경이 존재했다는 설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김성일은 임진왜란 초기에 세상을 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정황으로 살펴볼 때 우리나라의 안경은 대략 임진왜란 전인 1580년경 이전에 중국을 통해 전래되어 오지않았나 추측된다. ■ 경주남석 안경 경주 남산에서 캐낸 수정을 가공해서 만든 안경알로 다른 수정에 비해 경도가 강하고 모든 제작이 수작업이라 가격도 비싸고 귀하여 최고의 안경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 안경이 전래된후, 늘어 나는 수용을 감당하기 위해 외국으로부터 안경이 수입 되었다 문헌에 의하면 조선조 중엽인 순조대에 이르러 안경이 유행하였고, 이때 안경 가운데는 일본과 중국에서 수입된 안경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수입 안경은 그 물량이 제한되어서 경주 남석안경은 많은 인기를 끌었다 경주에서 채굴되는 수정의 품질이 우수했고, 우리 선조들의 제조기술이 뛰어났기 때문에 우수한 안경 이였으며, 남석안경의 값은 당시에 엄청나게 비쌌다. 미국인 선교사 제임스 게일이 [코리안 스케치]에 수록한 일화에 의하면 남석안경은 당시에 미국 돈으로 15달러나 주어야 구입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게일은 또 이러한 거금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양반들은 이를 구입 못해 안달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 생활관습과 안경 우리나라의 안경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400년 전에 비롯된 유구한 전통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오랜 전통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안경은 오랫동안 그늘에 가리워진채 빛을 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안경이 오랫동안 제 구실을 하지 못한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우리민족의 생활 관습에 따른 안경착용시의 숱한 제약과 안경에 대한 폐쇄적인 사고가 주요 원인일 것이다. 조선조 중엽에 전래된 안경은 17세기경에 우리의 손으로 제작이 되었다 그러나 안경은 조선조 후기에 이르기 까지 극히 소량으로 생산되어 제한된 일부 층에게만 보급 되었다 . 그러므로 안경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아주 희박하였으며, 안경은 높은 신분 혹은 나이가 많이 든 사람만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이러한 인식은 안경의 생산과 보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안경이 그래도 나름 대로 발전을 이룩한 시기는 영조 때부터 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부터 발전한 안경은 이후 세간에 널리 퍼져 정조 때에는 임금조차 노년에 안경을 사용하였다 ■ 정조의 옥안경 이는 안경이 귀한 물건이었기 때문에 신분이 높은 사람이나 노인들만 쓰는 것으로 알았기 때문에, 젊은 사람이나 비천한 계급의 사람이 그들 앞에서 안경을 착용하면 큰 무례를 행하는 것이 되었다 안경의 까다로운 예법은 조선말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당시 선교사들의 기록에서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세계 안경의 약사 안경을 처음 발명한 사람과 그 시기는 알 수 없으나 , 외국에서 인용되는 기록으로는 이탈이아의 플로렌스 지방의 한 공동묘지의 비문을 들고 있다 . 그 비문에 '여기 플로렌스에 살았던 안경 발명자 [Salvino d'Armato degli Armati] 여기 잠들다 . 신이여 그를 용서하소서'라고 새겨져 있다 . 그러나 Salvino d'Armato degli Armati 라는 사람이 진정 최초로 안경을 발명했다는 것에는 의문이 있으나 , 안경의 출현시기와 장소가 , 이 사람이 생을 영위했을 13세기 후반에서 이탈리아의 프로렌스 지방이 유력한 것으로 되어 있다 . 마르코폴로의 동방견문록에 의하면 이 당시의 중국의 안경은 귀족들의 고급 액세서리로 보여지고, 안경이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그림은 1352년 이탈이아의 화가 '토모소 다 모레나'가 그린 '위고 대주교의 초상화'로, 이 그림은 현재 이탈리아의 '성 니콜라 사원'에 소장되어 있다 . 이 그림에 나와있는 안경은 일명 '대못안경'으로 나무나 동물의 뼈등으로 만든 안경테에, 수정이나 유리로 된 둥근렌즈를 끼워넣은 단안경 재질에 두 개를 대못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이 후 , 15세기경에 두 개의 단안경을 브릿지로 연결시킨 브릿지 안경이 등장하고 16세기경에는 안경이 널리 보급되어 여러가지 독특한 형태의 안경이 등장하게 되었다 . 영국이나 프랑스의 손잡이가 달린 안경과 외알안경(monocle)이 성행되고 , 가위안경도 개발되었다 . 현재의 안경과 같이 귀에 다리부의 끝부분을 걸릴 수 있도록 개발된 시기는 1850년 이후이며 , 이 시기에 무테안경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또 안경테의 재료로 금속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600년대이며, 이후에는 귀갑테가 사용되었으며 , 1868년에 개발된 플라스틱이 안경테에 사용되어 안경 자체의 무게를 줄이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 그 후 , 플라스틱 렌즈의 개발과 안경의 경량화 추세, 그리고 1902년 유리 콘택트렌즈의 개발등으로 끊없는 안경의 발달은 이어졌고, 특히 플라스틱 소재는 끊임없는 발달을 이루어 왔다 . 1982년경 일본등지에서 금속제 티타늄 안경테와 탄소섬유 등으로 만든 안경테가 최초로 발매되어 인기를 독점하였고, 최근에는 형상 기억합금 소재를 통한 안경까지 출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 안경의 이름 조선시대에는 안경을 애체라고 하였다 |
안경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지요?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 2011.07.21 |
---|---|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 2011.07.21 |
콘택트렌즈의 역사 (1) | 2011.07.21 |
써클렌즈 (0) | 2011.07.21 |
콘택트렌즈 (0) | 201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