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영기(retinoscope, skiascope)
1895년 Bowmann에 의해 고안, Landolt, Parent가 발전. 타각적인 방법중 가장 정확.
1) 검영법 목적
안구와 동공에 광원을 투입시켜 망막에서 나온 광선속이 모이는 상점, 즉 눈의 원점 및 근점의 위치를 찾아 눈의 굴절상태를 타각적으로 측정하는 검사기이다. 원점의 위치는 근시는 눈앞 유한거리, 원시는 눈 뒤 유한거리, 정시는 눈앞 무한거리(5m 이상).
2) 종류
①선조형 : 수평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어 난시 및 정확한 축 판별의 대표적인 검영기.
②원형 : 원형이라서 난시 축 검사가 어렵다. 거의 사용 안함
3) 구조
➀ 필라멘트 : 나선형, 직선, 특수 필라멘트
➁ 집광렌즈 : 빛이 발산되어 나감 = +렌즈
➂ 조명계 : 빛이 환자의 눈에 어떻게 입사하는지를 보여줌.
➃ 관찰계 : 빛이 환자의 동공으로부터 거울을 통과하여 검사자의 망막에 도달하는 경로
❋ 평면거울 효과 : 발산광선이 나옴 - 필라멘트(전구)가 집광렌즈 초점 내측에 있으면 발산광선
❋ 오목거울 효과 : 수렴광선이 나옴 - 필라멘트가 집광렌즈 초점 외측에 있으면 수렴광선
4) 굴절 검사 방법(측정방법에 의한 분류)
1) 피검사자의 눈의 상태에 의한 분류
① 정적검영법 : 피검사자의 조절을 느슨히 풀어주어 정적굴절력을 측정하는데 주로 원용인 정점굴절력을 측정하는 검사: 원용안경 처방용
② 동적검영법 : 피검사자의 눈을 주위의 한점에 주시시켜 동적굴절력을 측정하는데 근용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하는 검사: 근용안경 처방용
2) 망막상의 측정부위에 의한 분류
① 중심와검영법 : 검영기의 선조광을 중심와에 들여보내 중심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측정하는 법
② 유두 검영법 : 시신경유두 부근에서의 반사광을 측정하는 것인데 오차가 많다.
3) 측정위치에 의한 분류
① 이동식 검영법 : 피검사자와 검사자의 측정거리가 어느 한점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검사자가 앞뒤로 이동해 가면서 검사하는 방법. 피검사자를 나안으로 두어 그 전방에서 검사자가 검사거리를 변동시켜 원점을 찾는 방법(고도 근시에 사용)
예) 검사거리 50cm에서 중화 될 때 : -2.00D 근시
검사거리 33cm에서 중화 될 때 : -3.00D 근시
② 고정식 검영법 : 렌즈 중화법, 정위치 검영법.피검사자와 검사자의 거리를 고정시켜 판부렌즈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
➜ 50(동양인) ~ 67(서양인)cm를 선호.
(3) 망막 반사방향 (사입광과의 관계) : 발산광선, 검사거리 50cm
➀ 동행 : 빛의 이동방향과 반사광의 이동방향이 같은 것(피검사자의 원점거리가 검사거리보다 길어 검사자의 눈뒤에 피검사자의 원점이 있는 경우) : 정시, 원시 -2.00D 미만의 근시
➁ 역행 : 빛의 이동방향과 반사광의 이동방향이 반대로 움직이는 것(검사거리가 피검사자의 원점거리보다 길어 피검사자의 원점이 검사자와 피검사자의 사이에 있는 경우) : -2.00D 보다 강한 근시
➂ 중화 : 움직임이 전혀 없거나 동행으로 가다가 역행 (검사거리와 원점거리가 같은 위치, 반사광이 정지해 보이는 상태 : -2.00D의 근시
❋ 수렴 광속으로 검영할 때는 발산광선속으로 검영할 때와의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이동방향은 피검사자 눈의 원점 R과 검사자 동공에 상대적인 위치관계로 세 가지 성립.
<그림으로 설명> 1) 역행 2) 동행 3) 중화상태 4) 처방법 : S-C
중화점에 가까울수록 검영기의 회전 이동량에 대한 선조광상의 속도비가 커져 선조광상이 빨리 움직인다.
| |||||||||||
|
|
|
☻ |
|
|
|
☺ |
|
|
|
|
|
|
|
|
|
| ||||||
E D (검사자)C B A 피검사자 |
(4) 검사방법(고정식 검영법을 중심으로)
검사방법은 눈 앞에 적당한 굴절력의 렌즈(판부렌즈)를 장용시켜 중화시키는 것이다. 역행하면 (-)렌즈,.
동행하면 (+)렌즈를 가하여 중화점을 찾은 다음 교정굴절력을 산출한다.
교정도수 = 중화된 렌즈의 도수 + 검사거리의 버전스 |
예) 검사거리 50cm로 하고 중화렌즈의 굴절력이 +1.50Dptr 일 때 이 사람의 교정 굴절력은?
1.50 + (-2.00) = -0.50D
(5) 난시 검영법
검영법에서는 반드시 수평, 수직, 45
3경선이 방향중 적어도 2개의 경선의 검영값이 다를 경우 난시안이다.
'Ocular Optics.안광학 > Equipments.광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안경(Ophthalmoscope) (0) | 2011.07.21 |
---|---|
각막곡률계(Keratometer, Ophthalmometer) (0) | 2011.07.21 |
동적(dynamic)검영법,안굴절계(Refractometer) (0) | 2011.07.21 |
포롭터 사용시 검영법? (1) | 2011.07.21 |
축을 찾는 방법 (0) | 201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