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장. Soft contact lens 함수율과 임상과의 관련
⇒ 현재 사용되는 렌즈이 대부분은 38~45%의 함수율을 가지는 HEMA(hydroxymethyl methacrylate)이다
1) 고함수율과 비교하여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의 장점
a. 장력(tensile)이 크다
b. 파손의 우려가 적다
c. 수명이 길다
d. 제조가 쉽고 재생이 가능하다
e. 눈에서 렌즈의 탈수가 적다
f. 렌즈관리용액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적다
g. 사용에 따른 렌즈의 변색이 적다
2) 고함수율과 비교하여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의 단점
→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와 관련한 대부분의 단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Dk 값에서 야 기되는 문제점이다.
a. 각막부종
b.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신생혈관
3) 저함수율과 비교하여 고함수율 콘택트렌즈의 장점
a. 재료의 부드러움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b. 적응력이 빠르다
c. 연속착용에 좋다
4) 저함수율과 비교하여 고함수율 콘택트렌즈의 단점
a. 수명이 짧다
b. 파손의 우려가 크다
c. 침전물 형성이 높다
d. 사용에 따른 렌즈의 변색이 많다
e. 시력이 일정하지 않다
f. 렌즈관리용액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많다
h. 눈에서 렌즈의 탈수가 쉽게 일어난다
5) 소프트 콘택트렌즈 두께와 임상과의 관련
→ -3.00D 굴절력을 가진 HEMA 렌즈의 표준 각막직경에 대한 전형적인 렌즈의 중심두께는 0.10~0.14mm 범위이다. 중심두께가 0.10mm 보다 얇은 렌즈는 ‘thin', 0.07mm 보다 얇은 렌즈는 'Ultra thin', 그리고 0.05mm 보다 더 얇은 렌즈는 ’Hyper thin' 으로 간주되고 있다. 두께가 얇은 렌즈는 Dk/t(thransmissibility)가 증가하고 생리적 핏팅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채 깜박 잠이 들어도 고유의 안전요소를 제공하기도 한다
(1) 두께가 얇은 콘택트렌즈의 장점
→ 중심두께뿐만 아니라 전체 렌즈두께를 고려해야한다
a. 부종의 발생이 낮다
b. 렌즈의 얇은 가장자리로 인해 안검과 윤부에 자극이 줄어든다
c. 만약 환자가 렌즈를 착용한 채 잠이 들었을 경우에도 안전하다
(2) 두께가 얇은 콘택트렌즈의 단점
a. 특히 -2.00D 이하의 마이너스 굴절력에서 렌즈를 다루기가 어렵다 b. 표준 두께의 렌즈보다 파손율이 높다
c. 수명이 짧다
d. 토릭 각막에서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e. 렌즈가 눈에서 탈수될 경향이 크다
** 후면정점굴절력
콘택트렌즈가 On K 보다 가파르게 핏팅되었다면 플러스 누액렌즈가 형성되고, On K 보다 편평하게 핏팅되었다면 마이너스 누액렌즈가 형성된다.
예: 안경처방 : -3.00D
K값 :8.00mm@180
7.95mm@90
(1)후면광학부반경:8.1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 -0.50D 덧댐굴절검사=-0.5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2.50D
(2)후면광학부반경:8.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plano 덧댐굴절검사=-1.0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3.00D
(3)후면광학부반경:7.9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0.50D 덧댐굴절검사=-1.5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3.50D
※임상적 등가원리:렌즈곡률을 0.05mm 변화시킬때마다 렌즈굴절력이 0.25D씩 변화된다.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과 누액의 생리 (0) | 2011.07.21 |
---|---|
C.L의 제조방법 (0) | 2011.07.21 |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0) | 2011.07.21 |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 2011.07.21 |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 201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