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나 골프애호가 및 야구선수들에게는 봄은 분명히 좋은 계절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금년 봄처럼 기상이변이 심해서 늦봄까지 많은 눈이 내리고, 기온이 영하에 머물고, 대형 황사가 몰려오고, 날씨마저 변덕스러워 아직도 야외스포츠를 엔죠이하기에는 이른 것 같다.
시야가 탁 트인 넓은 바다의 수평선이 전개되는 파도치는 바다를 연상하면서 낚시 도구(釣具)를 손질하거나 또는 새 파아란 연록색의 그린을 생각하면서 클럽을 손질하는 재미도 실전 못지않게 가슴 설레이는 봄이기도 하다. 그러나 봄의 태양은 중천에 있지 않고 긴 그림자를 드리운다. 춘분이 지났다고는 하지만 그림자를 길게 드리는 계절이므로, 해변의 낚시 애호가와 bunker나 fairway에 선 골퍼의 눈에는 눈부신 반사광선(편광)으로 눈이 피로해지기 쉽다.
이럴 때 쓰면 좋은 안경이 편광 선글라스다. 편광 선글라스는 눈을 부시게 하는 반사광선(편광)을 차단해서 눈이 부시지 않도록하고 눈의 피로를 막아준다. 특히 수면에서 모조미끼(루어:lure)를 눈으로 쫓아가며 낚는 농어(bass) 낚시질에 편광렌즈가 없어서는 안된다. 그린보다 벙커의 모래는 편광의 반사가 가장 강하다. 더구나 아이언 샷을 할 땐 아이언에서의 반사도 일어난다. 이럴 때 편광 선글라스는 필수품이다.
편광 선글라스는 편광을 차단시켜 눈부심을 막아 눈의 피로를 예방하고, 명도대비(콘트라스)를 향상시키며, 자외선을 완전히 흡수해서 백내장을 예방하고, 눈을 보호하며, 시력을 향상시키는 일반 선글라스가 갖지 않는 독특한 성능을 가진 선글라스이다. 이러한 다양한 성능을 가진 선글라스는 없다. 편광 선글라스의 성능을 경시하거나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편광선글라스는 어떻게 만들어야 그 성능을 100% 발휘할 수 있는지 설명해 보기로 한다.
첫째로 편광렌즈는 안경테의 옥형의 크기(lens shape)와 거의 같도록 에징 또는 beveling해야 한다. 편광렌즈의 형상이 옥형의 형상과 상이(相異)하거나 렌즈의 크기가 옥형의 크기보다 크게 가공되면, 렌즈가 테의 압박(타이트하게 렌즈가 끼워질 경우)을 받게 되면 복굴절(birefringent)이 일어나고, 그 부위에는 빛의 간섭이나 회절에 의해 생기는 명암의 어두운 줄 무늬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편광렌즈 성능이 크게 감소된다.
둘째로 편광렌즈의 조제가공축은 좌∙우렌즈가 수평이 되어야 하며, 수평축은 조제가공축에 대하여 직교(90˚)되도록 조제해야 한다.
셋째로 안경테의 커브와 렌즈의 커브가 일치해야하며, 렌즈의 Bevel이 테의 Groove에 strain을 일으키지 않고 잘 맞아야 한다. 테와 렌즈커브가 일치되지 않으면 역시 복굴절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넷째로 편광렌즈는 dark color(진한 컬러)를 피해야 한다. 색조가 엷은 필터렌즈만으로도 방현효과(防眩効果;눈부심 방지효과)가 충분히 크다.
다섯째, 코팅편광렌즈를 사용코자할 때는 내면 코팅렌즈를 사용한다. 유령의 상(ghost image) 또는 플레어(flare:미광;迷光)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좋다.
여섯째, 콘트라스트(명도대비) 효과를 극대화시켜 선명한 시계(視界)를 확보하고 시력을 높이고져 할 때에는 편광렌즈의 color를 사용목적에 맞도록 선택한다. 골프코스에서는 Grey 편광렌즈보다 Brown 또는 amber color 편광렌즈가 가장 좋다.
일곱 번째, 편광플라스틱렌즈에는 두가지 type이 있다. 하나는 요드계 편광렌즈이고, 다른 하나는 염료형 편광렌즈이다. 요드계는 편광도가 높고, 자연색조로 보이나 열에 약하고, 염료형 편광렌즈는 편광도가 보다 낮으나 내열성이다. 요드형 편광 선글라스는 자동차 트렁크같이 온도가 높은 장소에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도수가 들어 있는 편광렌즈를 가공할 때는 edger의 wheel weight를 보다 가볍게 하는 것이 좋다. 편광막이 떨어질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접착부위가 떨어지면 가공 중 물이 침투해서 렌즈에 습기가 찬다.
편광렌즈는 눈을 보호하고, 선명한 시계(higher contrast)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보통 선글라스보다 성능이 탁월한데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에게는 그렇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편광렌즈를 쓰는 사람은 미국인과 호주인으로 1950년대 초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편광렌즈로 고기가 보인다!
수면에서 빛의 반사를 차단하기 때문에, 수면에 가까운 물고기(물고기 그림자)를 확실하게 보게 된다. lure, fly 등을 보는 고기를 낚는 game fishing에서 편광렌즈를 빠뜨릴 수 없는 것은 이 기능에 의한다. 수면의 뻔적거림이 살아져서 얻는 효과는 상상이상으로 크다.

[글] (주)시선 기술고문 강현식 교수 (hskang@seesun.tv)
[자료협조] 참편한 안경 시선(www.seesun.tv)
출처 : http://www.seesun.tv/board/bbs/board.php?bo_table=story&wr_id=123&sfl=&stx=&sst=wr_datetime&sod=desc&sop=and&page=8
'Optometry.안경학 > Sun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에 안경을 차에 두면 안되는 이유? (0) | 2011.08.11 |
---|---|
스포츠 선수들이 선글라스를 쓰는 이유 (0) | 2011.07.25 |
여름철, 선글라스 무시하면.. (0) | 201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