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3:18

Fitting의 평가


제 9 장. Fitting의 평가

1) 렌즈의 움직임

→ 순목후 정상적으로 렌즈가 제자리로 되돌아가는 경우는 이상적인 피팅이다

a. 순목후 하방편심

렌즈의 fitting이 flat 하거나 렌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 B.C를 steep하게 fitting, 광학부직경을 줄인다, 중심두께를 줄이거나 가장자 리 두께를 증가시킨다.

b. 순목후 렌즈가 상안검에 의해서 아래로 내려오지 않은 경우

중심각막이 심하게 가파른 경우 또는 렌즈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이다

→ 렌즈의 직경을 줄인다.

2) 동적 fitting법(구면 RGP)

a. fitting 평가

- 시험렌즈를 눈에 정착후 충분한 적응이 이루어진 다음 렌즈 fitting 상태를 평가

- 적응시간은 20-30분

- 정면응시 상태와 정상적인 순목상태를 결정

- 눈의 시선에 따라서 렌즈의 상하 움직임을 관찰

- 세극등 관찰시 고배율 확산조명으로 관찰

b. 렌즈 움직임

- 렌즈는 각막에 약간 상방 편심되어 렌즈의 윗쪽 가장자리가 상안검에 부착된다

- 순목과정에서 렌즈는 상윤부에서 하방까지 원활하게 움직인다

- 렌즈는 응시하는 방향에 따라서 원활히 움직여야 한다

- 움직임이 적은 경우

→ B.C가 tight 하므로 BC를 flat 하게 처방, 광학부 직경을 줄인다

- 움직임이 심한 경우

→ B.C가 flat 하므로 BC를 steep 하게 처방, 렌즈의 직경을 늘인다

- 순목시 시력이 안정적이어야 한다

- 순목시 렌즈가 좌우로 편심되는 경우

→ B.C가 flat 하므로 BC를 steep 하게 처방한다

- 순목시 렌즈의 움직임이 일정해야한다

3) 이상적인 동적인 fitting 상태

- 움직임:1-1.5mm

- 중심부 안정:렌즈는 각막중앙에 위치하며, 움직임시 각막윤부를 벗어남

- 중심부 접촉여부:3-4mm 접촉

- 주변부 형태:0.75-1.0mm

4) flat 한 렌즈 fitting의 동적인 fitting 상태

- 움직임:1.5mm이상

- 중심부 접촉:3mm 이하

- 중심부 안정:보통 상방안정 또는 이측하방으로 많이 쏠림

- 주변부 형태: 감소 또는 없음

- 속도는 느리며 편동이 심하고 움직임의 양이 크다

5) Tight 한 렌즈 fiffing 의 동적인 fitting 상태

- 움직임:1.0mm 이하

- 중심부 안정:양호 또는 하방 안정 상태에서 움직임이 거의 없음

- 중심부 접촉:눈물층에 기포 또는 4mm 이상

6) 정적 fitting법(구면 RGP)

① 플로레신 형태 평가

- 장비 → slit lamp, burton lamp

- 형광액 점안 → 과다한 양 사용금지

눈을 아래로 주시한 상태에서 상부 결막에 적당량을 점안하고 이때 무방부제 식염수를 사용

- 렌즈와 각막의 사이가 틈새가 생기면서 밝은 녹색으로 나타난다

- 틈새가 없는 부분은 렌즈와 각막이 접촉된 경우이며 아주 어둡게 나타난다

② fitting 평가

- 플로레신 양을 관찰

중심부, 중간부, 주변부와 렌즈의 아래부분

- 어두운 부분은 렌즈가 각막에 부착된 것

- 연노랑색으로 밝게 나타나는 부분은 눈물이 많은 것으로 틈새에 눈물이 많음

- 일정한 검은 연두색은 틈새와 눈물양이 적당함

7) tight fitting 상태에서 시험렌즈의 변수를 변경하는 요령

→B.C flat 0.05mm, O.Z.D 작게 0.2mm, P.C.R flat 하게 1.0mm, P.C.W 넓게 0.2mm, O.A.D 작게 0.2mm

8) lag

- 정적 lag

* 이상적인 상태:동공 중심부에서 1-2mm 정도의 움직임 상태가 관찰

* loose 피팅:상하안검을 넓혔을때 아래쪽으로 흘러 내린다

* tight 피팅:상하안검을 넓히더라도 동공중심부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 동적 lag

안구의 움직임과 비교하여 렌즈가 움직임이 지연되는것을 동적 lag라한다. 이상적 피팅은 1-2mm 늦어지고 lag 상태가 이보다 더 크면 loose 피팅, 반대는 tight 피 팅상태

9) 하방안정(low riding)

렌즈가 순목후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

- 원인

◬ 안검이 느슨하거나 하안검의 위치가 낮은 경우

◬ 도난시성 각막

◬ 불완전한 순목상태

◬ 렌즈의 형상 특히 고도 plus 렌즈

- 처치

◬ 두께가 더 얇은 렌즈사용

◬ 비구면형 렌즈사용

◬ 광학부 직경이 더 큰 렌즈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3:17

콘택트렌즈의 광학


제 8 장. 콘택트렌즈의 광학

⇒ C.L의 Fitting

․진료 →안검사 →곡률반경측정 →굴절검사(자.타각적검사)→Trial lens에 의한 test

(B.C, Power, Size, Thickness, Edge)→처방

1) 곡률반경측정

→ Keratometer로 측정하며 수직과 수평을 측정하여 평균치가 K-reading이 된다. Keratometer는 각막중심 3mm 부위의 곡률반경을 측정하기 때문이며, C.L가 덮는 부위는 이것보다 더 크다. soft C.L의 후면커브는 각막커브에 0.6~1.2mm(0.7mm정 도)를 더하여 처방하는데, 그 이유는 원활한 눈물흐름과 건조 관계로 약간의 수축 변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막난시를 측정할 수 있으며 굴절검사를 하기 전에 각막 난시를 알면 편리하다. 각막의 곡률반경과 굴절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 한다.

예) 44.00D @ 180 r1 = 7.67mm @ 180

45.50D @ 90 r2 = 7.50mm @ 90

-------------------

Ac:-1.50D x 180

1.3375-1.0 1.3375-1.0

r1 = --------- x 1000 r2 = ----------- x 1000

Flat K 값 Steep K 값

D : 각막의 굴절력(diopter) n₁: 공기의 굴절율 (n=1.000)

r1, r2 :각막의 곡률반경(mm) n₂: 방수의 굴절율 (n2=1.337)

각막곡률반경 측정기인 keratometer는 각막전면의 각 경선방향에 대한 곡률반경 및 굴절력 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난시의 도수검사, 축검사, soft C.L의 fitting을 평가할 수 있다.

H + V

soft B.C = -------- + 0.7mm

2

2) 굴절검사 및 시력검사

→ 각막난시가 있을경우에는 soft toric C.L를 권하거나 hard C.L로 교정 하여야한다. soft toric lens의 선택은 적당한 base curve를 선택한 다음 구면도수와 난시도수 를 결정하여 -도수로 환산하고 난시축, 즉 결정된 축에 렌즈 회전각도를 보정하 여 선정한 렌즈를 착용한다.

CATS or LARS

3) Trial lens 에 의한 test

→ 도수를 참고로 하여 trial lens를 착용한 다음 10분이상 경과한 후에 시력을 측정 한다. 그 다음에 다시 안경 시험테를 끼게하여 추가 시력교정을 한다. 이때 근시 렌즈이면 추가 교정은 최량시력의 가장 약한 도수를, 원시렌즈이면 가장 강한 도 수로 교정하는 것이 좋다.

학생이나 가까운곳에 물체를 두고 작업하는 사람은 -0.25D 정도 낮추어 주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4) 도수(Power, D)

→ 시력검사에 필요한 굴절력이 결정되면 이것을 이용해서 교정할 렌즈의 도수를 얻 는다. 렌즈굴절력의 단위는 Diopter이며 lens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굴절도는 보통 안경 굴절력으로 표시되는데, 굴절이상의 교정은 렌즈의 후 초점과 눈의 원점이 일치하는 곳이며, 유효굴절력은 그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안 경의 도수와 비교해서 C.L도수를 계산할때에는 정점간거리(vertex distance)를 고 려하여 환산해야한다.

C.L는 각막과 직접 접촉된 상태이지만, 안경은 눈앞에 각막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한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 안경과 C.L의 굴절력이 ±4.0D이하일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다.

D₁ D : C.L의 굴절력

D =-------- D₁=안경렌즈굴절력

1-ℓD₁ ℓ:정점간거리 (m;12.0mm 인 경우 0.012m)

근시에서는 |D| < |D₁| 이고, 원시에서는 |D| > |D₁|이다.

예:S-5.00D VD12mm

-5.00

F= --------------- = - 4.70D

1-(0.012 x(-5.00))

5) Base curve(BC)

→ 각막의 곡률반경 측정결과를 이용해서 착용할 렌즈의 base curve를 결정한다. Hard C.L의 선택은 각막 전면 곡률반경의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중간치에 가장 가까운 flat한 렌즈를 선택한다. soft C.L의 base curve는 착용시 약간의 변화가 있 고, 제조방법과 재료 및 함수율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제조회사의 처방 manual을 참고. 각막난시가 없는 경우 각막만곡도치(K)보다 0.50~0.75D 더 편평 하게 처방하고 각막난시가 1.50D일때를 ‘on K'로하여 이보다 난시가 적을때는 편 평한 K 보다 더 편평하게, 1.50D이상 의 각막난시가 있을때는 편평한 K 보다 약 간 가파르게 처방.

RGP 렌즈의 기본만곡반경(BCR) 결정

각막난시(keratometry)

BCR 결정

0.0~0.50D

0.50~0.75D flatter than K

0.75~1.25D

0.25~0.50D flatter than K

1.50D

on K

1.75~2.00D

0.25D steeper than K

2.25~2.75D

0.50D steeper than K

3.00~3.50D

0.75D steeper than K

☛ 각막난시가 1.50D인 경우 on K-fitting(flatter meridian K 값과 일치)이며 그 이하인 경우 더 편평하게, 그 이상인 경우 더 가파르게 fitting 한다.

난시가 심한 경우에는 (각막난시-1.50D) x 1/2 or 1/3 정도 더 가파르게 fitting 한다.

예) H : 43.50, V : 45.00 일 경우 BCR = 7.75

H : 41.62 V : 44.12 일 경우 BCR = 8.01

6) 직경(Diameter, size)

→ C.L의 직경에는 광학부(optical zone)과 주변부커브(Peripheral curve), 베벨(Bevel), 모서리(Edge)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hard C.L는 8.0~9.0mm, soft C.L는 13. 0~14.5mm의 것이 대부분이지만 특수한 경우도 있다. C.L의 직경검사는 contact screen 이나 C.L 종합검사기로 한다. 처방시 Base curve와 직경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C.L는 착용중에 약간씩 움직여야 하는데, 이렌즈의 움직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알맞는 Size와 Base curve를 선택해 야한다. 이것은 돋 착용감과 연결된다. 각막곡률에 비례하여 직경이 큰 렌즈를 착용해야하지만, 직경이 큰 렌즈는 안정감 은 있으나 눈물교환과 산소공급을 방해하므로 좋지않아, 직경을 크게 하는것보다 Base curve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Soft contact lens의 Base curve와 직경

B.C의 범위

Diameter(mm)

~8.10

13.0

8.10~8.30

13.5

8.30~8.50

14.0

8.50~

14.5

7) 중심두께(Thickness, T)

→ C.L의 두께와 곡률은 굴절력과 관계있다. Soft C.L의 경우 중심두께가 너무 얇으 면 커브에 변화가 오기쉽고, 시력교정 능력이 줄어든다. 또 너무 두꺼우면 각막 과 결막에 부담을 주고 눈물순환을 방해하며 산소투과가 잘되지 않아, 건조감과 각막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렌즈 취급 숙련도와 산소투과율, 허용 하는 시력교정 능력등을 고려하여 가능한한 얇은 렌즈를 선택.

8) 모서리(Edge)

→ 모서리는 렌즈의 움직임이나 정지시 눈물순환에 영향을 미치므로 날카롭게 각이 지 면 곤란하며, 너무 두꺼우면 눈에 부담을 주어 착용감이 좋지 않다. 또 너무 얇거나 모서리 끝이 거칠면 떨어져 나갈 수도있다. C.L의모서리는 현미경 투영기나 lupe같 은 확대기를 사용해서 검사한다.

9) 누액렌즈

→ 눈물층의 두께는 0.02mm로 매우 얇지만 C.L의 굴절력을 계산할 때 반드시 고려 되어야 할 사항이다. C,L와 각막이 분리되어 있다면 3개의 굴절체(C.L, 눈물층 및 각막)이 존재하고, 이들 각각은 아주 얇은 공기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 것으로 간 주할 수있다. 눈물층이 공기 중에 놓여있다고 가정할 때 이를 가끔 누액렌즈(fluid lens)라 한다. 이 누액렌즈는 후면이 각막의 곡률에 의해 고정되고, 전면은 C.L의 광학부 곡률반경과 일치한다. 3가지 피팅상태에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누액렌즈가 형성되며, 누액렌즈의 굴절력은 임상적으로 C.L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만곡도 차 이로 나타낸다. 3가지 다른 피팅상태에 의해 형성되는 누액렌즈는 다음과 같다

렌즈가 K 보다 편평할때는 눈물층이 마이너스 굴절력을 가지며, K 보다 가파를 때 는 눈물층이 플러스 굴절력을 가지므로 렌즈의 도수 결정시 가감을 해야한다.

① C.L의 K 값(D) <각막의 만곡도(D) ....마이너스 누액렌즈 형성

② C.L의 K 값(D) = 각막의 만곡도(D) ....평면렌즈

③ C.L의 K 값(D) >각막의 만곡도(D) ....플러스 누액렌즈 형성

예1) 완전교정도수 -2.00D

K값 측정 44.00D(7.67mm)(양주경선 모두 동일)

C.L의 베이스커브 44.50D(7.58mm)

누액렌즈의 굴절력 44.50 - 44.00 = +0.50D

만일 C.L의 베이스커브가 곡률반경(mm)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다음 공식을 사 용하여 누액렌즈의 전면굴절력을 구한다

1.3375-1.00

F =----------

r

(단 r : C.L의 base curve(mm), 1.3375;K에서 일반적으로 각막의 굴절력로 가정한 값)

이처럼 C.L와 누액렌즈가 결합하여 C.L 누액합성계가 형성된다.

예1) 안경교정도수 : S-1.00D ⋐C-0.50 Ax180

K측정치 :44.00@180

:44.50@90

-------------------

-0.50 @ 180

C.L B.C:44.00D(0n K 피팅)

예2) 안경교정도수 : S-1.00D ⋐C-0.75 Ax180

K측정치 :44.00@180

:44.50@90

-------------------

-0.50 @ 180

C.L B.C:44.00D(0n K 피팅)

그러므로 S-1.25D ⋐C-0.25 Ax180

10) 렌즈도수의 결정

→ 베이스커브, 렌즈직경이 결정되었으면 -3.00D의 검사용 렌즈를 착용시킨후 덧굴 절검사(over-refraction)를 하여 최종 콘택트렌즈의 도수를 구한다.

덧굴절도수가 ±4.00D 이상이면 정점간 거리를 보정해 처방해야한다.

예) 시험용렌즈 ; -3.00

덧굴절도수 : -4.50(정점간거리를 보정해 -4.25)

처방도수 : -7.25

① 시험용렌즈없이 도수교정을 할 경우, Flat K와 베이스커브의 차이로 인 해 발생하는 Tear lens 도수를 가감 하여야한다

②SAM - FAP 법칙:steep 해지면 minus를 더하고 Flat plus를 더하라

예: K-Reading:43.50(7.75) x 180

44.50 x 90

Refraction: -2.00 -1.00 x 180

Flat C/L Steep C/L

---------------- ---------------------

BCR = 43.00(7.84) BCR = 43.75(7.71)

Tear Lens Power:-0.50D Tear Lens Power: +0.25D

C/L power = -1.50D C/L power = -2.25

(FAP) (SAM)

11) 중심두께의 결정

→ 도수, 렌즈직경, 렌즈 parameter에 의해 중심두께가 결정된다. 중심두께가 너무 얇 으면 렌즈가 잘휘고(flexures), 뒤틀림(warpage) 및 상방이탈이 생기기 쉬우며, 너 무 두꺼우면 하방이탈이 많고 렌즈 움직임이 많아 시력변화가 생긴다. 렌즈의 중 심두께가 증가해도 산소투과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Custom Design RGP Center Thickness values(mm)

power(D)

DK value

20-49

50 greater

-1.00

0.18

0.19

-2.00

0.16

0.18

-3.00

0.14

0.16

-4.00

0.14

0.15

-5.00

0.13

0.14

-6.00 and greater

0.13

0.14

※Thumb 의 2가지 법칙

1) DK 값 50이상의 재질은 중심두께를 0.02mm 증가시킨다

2) 1 디옵터 각막난시 증가마다 0.02mm 이상처방

12) 주변부 만곡반경과 폭(PCR/PCW) 의 결정

- 렌즈직경의 20~35%를 차지하며 1-3개의 커브로 구성되어 있다

- 베이스커브보다 편평하며 비구면으로 된 렌즈도 있다

- 주변부 만곡의 주요기능은 각막대사를 유지하기 위해 렌즈아래 눈물의 순환을 유지하 고, 렌즈 밑으로 찌꺼기를 배출, 렌즈 가장자리에 눈물띠(tear meniscus)를 형성하여 렌즈가 중심에 잘 위치하도록 해준다

- 렌즈를 착용했을 때 렌즈의 가장자리는 각막위에 약간 떠있게 되는데 이사이를 edge lift 라하며 주변부만곡반경(PCR)이 편평하거나 주변부 만곡폭(PCW)이 넓으면 edge lift가 높아진다. edge lift가 높으면 렌즈중심이탈이 많고 이물감, 각막탈수 (desiccation)가 증가하며, edge lift가 낮으면 눈물순환이 잘 안돼 노폐물이 잘끼며 각 막염이 생길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미 정해져있는 parameter가 있어 이를 기재할필 요가 없다.

13) 가장자리 두께와 디자인의 결정

→ 가장자리 디자인은 주변부커브와 함께 렌즈의 중심유지와 착용감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5.00D 이상의 고도근시는 렌즈 가장자리 두께를 더 얇게 해주는 플 러스 Lenticular Design을, -1.50D 이하의 근시와 모든 원시에서는 렌즈 가장자리 두께를 두껍게 하는 마이너스 Lenticular Design을 많이 사용한다.

14) C.L를 착용했을때의 조절

→ 안경에서 C.L로 바뀌게되면 특정한 거리에 있는 물체를 바라보는데 요구되는 조 절력이 바뀐다. 근시안이라면 안경을 착용했을 때 보다 더 많은 양의 조절이 요구 될것이고 원시안이라면 반대가 된다.

예1) 안경교정도수 ; -10.00D

정점간거리 ;13mm

안경면으로부터 주시물체까지 거리; 40cm

․ 안경렌즈의 전면에 입사하는 빛의 버전스는 -2.50D(1/0.4M)이며 안경의 굴절력이 더해진 후 안경렌즈의 후면에서 출사하는 빛의 버전스는 -2.50 + (-10.00) = -12.50D가 된다. 이 버전스가 각막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막면에서의 버전스 는 다음과 같다

1

---------------------- = - 10.75D

1/12.50D + 0.013

각막면에서의 굴절이상도는 -8.85D이다. 안경을 착용했을 때 요구되는 조절력은 각 막면에서의 굴절이상도(-8.85D)와 안경을 착용하고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안경을 통과 한빛이 각막에서 갖는 버전스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10.75)-(-8.85)=-1.90D이다. 그 러나 환자가 C.L를 착용하고 40cm 거리에 있는 물체를 명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조절력은 각막으로부터 거리의 역수로 구할 수 있다. 즉 40cm + 1.3cm = 41.3cm, -1/0.413 = 2.42D이다

따라서 C.L를 착용하고 안경면으로부터 40cm 거리에 있는 물체를 명시하기 위해서 는 안경을 착용했을때보다 0.52D 만큼 더 조절해야한다.

예2) 안경교정도수 : +10.00D

각막정간거리: 13mm

안경면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40cm

․ 안경면에 입사한 빛의 버전스는 -2.50D이며, 안경렌즈의 굴절력이 더해져서 안 경렌즈의 후면을 출사하는 빛의 버전스는 +7.50D가 된다. 이 빛이 각막에서 갖 는 버전스는 +8.31D로 증가하고, 각막면에서의 굴절이상도는 +11.49D이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하고 40cm 거리의 물체를 명시하는데 필요한 조절력은 (+8.31)-(+11.49)=-3.17D 즉, 3.17D이고 C.L를 착용했을 때 필요한 조절력은 2.42D이다. 그러므로 원시안은 C.L를 착용하면 안경을 착용했을때보다 0.75D만 큼 조절이 적게 요구되는 상태에서 안경면으로부터 40cm 거리에 있는 물체를 명시할 수 있다. C.L를 착용했을 때 요구되는 조절력과 관련하여 특히 고도 마 이너스 굴절력의 안경을 착용하였던 환자가 C.L를 착용하고 근거리 작업을 할 때에 더 많은 양의 조절이 요구되기 때문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근시성 노안에서 그 가능성이 크고 원시성 노안에서는 이와는 반대가 될 것이다.

15) C.L를 착용했을때의 폭주........****

→ 근시안이 C.L를 착용했을때는 안경을 착용시보다는 더 많은 양의 폭주가 요구된 다

→ 원시안이 C.L를 착용했을때는 안경을 착용시보다는 더 적은 양의 폭주가 요구된 다

․ 안경을 착용하고 시선을 원거리 물체로부터 근거리 물체로 이동시키면, 시선이 렌즈의 광학중심점을 지나지 않고 코쪽과 아래쪽의 한 점을 통과하게 되어 프리 즘 효과가 유발된다. 근시안이 근거리 물체를 볼때에는 주로 기저내방(BI)프리즘 이 유발되기 때문에 정시안보다 적은 양의 폭주를 하고서 일정한 거리의 물체를 융합할 수 있다. 그러나 C.L를 착용한 경우에는 근거리 물체를 볼때에도 시선이 렌즈의 중심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프리즘 효과가 유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했을때보다 더 많은 양의 폭주가 요구된다.

․ 안경을 착용한 원시안이 근거리 물체를 볼때에는 주로 기저외방(BO)의 프리즘 효과가 유발되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의 물체를 단일시(융합)하는데 더 많은 양의 폭주가 요구된다. 그러나 C.L를 착용하고 근거리 물체를 볼때에는 안경을 착용했 을때보다 더 적은 양의 폭주로 동일한 거리의 물체를 단일시 할 수 있다.

다음에서 알 수 있듯이 안경을 착용했을때와 C.L를 착용했을 때 각각 요구되는 폭주량의 차이는 대부분 2-3△정도이다. 근시안은 C.L를 착용했을 때 더 많은 양 의 조절이 요구되고 이로인해 더 많은 양의 조절성폭주가 수반되기 때문에 근거 리 물체를 볼 때 폭주가 더 많이 요구되는 점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3:16

각막과 누액의 생리


제 7 장. 각막과 누액의 생리

1. 각막의 형상(corneal topograph)

→ 각막의 외형이나 직경등과 같이 각막의 형태를 총칭하는말로 C.L를 fitting 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1) 각막의 외형

(1) 측정의 어려움 및 측정기구

→ 각막은 곡률을 측정하여 각막의 외형을 파악하는 것으로 각막곡률을 측정하는 기구로는 keratometer, topography 등이 있다.

2) 각막의 직경

→ 대략 수평이 11.7mm이고 수직방향이 10.6mm로 수평방향이 수직보다 1.0mm 정 도 더 긴 형태이다. 각막이 투명하고 만곡도가 크기 때문에 각막의 직경을 정확 하게 측정하기는 어렵다. 이에 비하여 홍채면은 평평하고 불투명하며 색깔을 띠 고 있어서 가장자리가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홍채의 직경은 쉽게 측정할 수 있 다. 홍채의 직경을 외견상 각막의 직경 또는 가시홍채직경(VIHD;visible iris horizontal diameter)로 간주. 가시홍채의 평균값은 대략 10.0~13.5mm 이다. 그 러나 각막과 공막의 연접부는 홍채의 가장자리보다 약간 바깥쪽에 위치하기 때문 에 해부학적으로 추정되는 실제 각막의 평균직경(수평 13.6mm, 수직 12mm) 은 홍채의 직경보다 1.0~3.0mm 정도가 더 크다. 가시홍채의 직경은 각막의 만곡 도와 반비례한다. 따라서 C.L를 피팅하는 과정에서 가시홍채직경을 측정하여 C.L 의 직경을 결정하는데 이용.

3) 각막신경학(neurology)

(1) 각막신경과 그 특색

→ 제5뇌신경인 안신경의 가지에 속하는 모양체신경이 각막의 신경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모양체 신경의 가지는 윤부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상맥락 막 공간에서 공막으로 들어가 3부분에서 신경구조망을 이루에 된다. 이 중 하나는 공막안에서, 또하나는 보우만막밑에서,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각 막상피내에서 신경구조망을 이룬다. 신경종말부는 각막상피층에서 가장 잘 보이나 유리된 상태인 종말기관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피부의 표피층과 비교하면 각막은 10~50배 정도 많은 신경섬유를 갖고 있 다. 각각의 신경섬유 가지는 각막의 1/4이상을 덮고 있기 때문에, 각막에는 매우 중복되는 신경구조망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각막은 자극이 유발되는 정확한 부위를 감지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둔하기 때문에, 자극이 위나 아래 또는 오른쪽이나 왼쪽에 가해졌다고 대략적으로 느낄 뿐 이다.

(2) 각막이 느낄수 있는 네가지 감각

→ 통각, 촉각, 온각 및 냉각에 대한 감각은 각막에서 감지할 수 있지만, 각각 의 정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들 감각중에서 통각과 냉각에 대해서는 각막이 예민하게 반응하지만, 촉각과 온각에 대해서는 별로 예민하지 못하 다.

→ 각막의 온도(corenal temperature)

각막의 온도는 눈의 다른부분이나 체온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낮은편이다. 특 히 각막정점의 온도(32℃)가 가장 낮고 상안검으로 덮혀있는 각막부분(3 6℃)이 가장높다. 윤부는 각막에 비하여 혈관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각막 보다 온도가 더 높다.

4) 누액의 생리

→ 누액은 pH7.4 정도로 약한 알칼리성이며 주성분을 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그리고 뮤신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정상인의 누액량은 평균 7μl이고 4μl에서 13μl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누액분비량은 평균 1.2μl/min이고, 0.5~2.2μl/min 범위에 있다.

누액의 역할은 각막을 적셔 윤활작용을 하고 산소와 영양분을 각막에 공급하며, 외부 이물질의 세척기능과 항균작용으로 감염방지 및 각막에 매끄러운 광학표면 을 제공하여 좋은 시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누액층은 각막표면에 얇게 펼 쳐진 액체층으로 지질층(lipid layer), 수성층(aqueous layer) 그리고 점액층(mucin layer)이 있다.

a. 지질층(lipid layer)

→ 누액층 중에서 가장 표면에 위치하고 있는 층으로서, 이층을 구성하는 지방성분 은 마이봄선(meibomian gland)에서 분비된다. 이층은 각막표면을 미끄럽게 하 는 윤활작용을 하고, 광학적으로 좋은 표면을 만들어 주며, 누액의 증발을 막는 작용을 한다.

b. 수성층(aqueous layer)

→ 누액층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층으로서, 이것은 누선(lacrimal gland)과 부누선(accessory glands)에서 분비된다. 부누선으로는 Krause 선과 Wolfring 선 이 있다. 이 수성층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lysozyme 이라하는 효소는 세균을 죽이는 항균작용을 하는 단백질로서 각막을 세균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한 다. 또한 수성층에는 많은 대사 산물과 전해질, 항체 등이 녹아 있으며 공기중의 산소가 용해되어 있다.

c. 점액층(mucoid layer)

→ 각막에 가장 가까운곳에 위치하고 있는층으로서, 이것은 결막의 배상세포 (Goblet cell)에서 분비된다. 각막상피의 표면에는 미세융모가 많이 존재하며, 미 세융모 사이에 점액성분이 침투되어 상피표면을 친수성으로 변화시키므로 각막 표면에 누액이 쉽게 퍼지도록한다. 만약 점액을 제거한다면 각막은 소수성으 로 변하여 각막위에 누액이 골고루 퍼지지 못하여 건조반(dry spot)이 형성 된다. 정상안의 각막에서는 건조반이 각막상피의 탈락을 도와 상피의 재생을 촉 진시키게 된다.

5) 누액검사법

(1) Schirmer's test 검사법

→ 누액의 양을 측정, 검사용지(5 x 30mm)를 안검연(lid margin)에 삽입시킨후 5분이내에 10~15mm 나 그 이상 젖으면 정상

① 검사를 하기전에 안검을 자극하지 않는다

② 이 검사를 실시하기전에 세극등 검사를 하지 않는다

③ 검사용지가 각막에 닿지 않도록 한다

④ 누액이 적셔진 정도를 측정한다

(2) TBUT 검사법

→ 누액층이 파괴되는 시간은 매끄러운 각막상피의 파열이 생기고, 그 결과 파열 된 부분에서 수성층이 증발하여 점액층에 건조반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 즉 눈을 뜬후 누액층이 파열되는 시간을 TBUT라고 부른다. 이 검사법 은 점액의 분비이상검사 등에도 사용된다. 건조반이 생기는 평균시간은 15~ 20초이다.

(3) 순목(blinking)

→ 순목은 렌즈밑의 누액이 교환되도록 하는 펌프작용을 하므로, 순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각막에 산소나 영양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불완전한 순 목이나 비정상적인 순목은 건안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C.L 착용자중 에 볼 수 있는 3-9시 방향의 염색은 순목상태가 불완전하여 누액의 펌프작용이 촉진되지 않기 때문에 신선한 누액이 교환되지 못하는 각막부분에 건조반이 생 겨 나타난 결과이다. 순목현상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일어나는 자연적인 순목과 외부로부터 자극이 있을 때 일어 나는 반사적인 순목으로 나눌 수 있다. 불수 의적인 순목은 안검이 불완전하게 폐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수의적인 순목 과 동일하다. 순목횟수는 평균적으로 1분간에 약 12회 또는 4~5초마다 1회이 다. 순목작용은

① 이물의 침입에 대하여 눈을 보호한다

② 눈에 들어간 이물을 배출한다

③ 누액이 골고루 퍼지도록 펌프작용을 촉진한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tting의 평가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광학  (0) 2011.07.21
C.L의 제조방법  (0) 2011.07.21
Soft contact lens 함수율과 임상과의 관련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0) 2011.07.21
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3:16

C.L의 제조방법



제 6 장. C.L의 제조방법

⇒ C.L는 주형조조법, 회전주조법, 선반절삭법으로 만든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액상의 Monomer를 중합(polymerization)하여 고분자(polymer)를 합성. 그외에도 CAB 제조 때 사용되는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반응과 자외선을 사용한 광중합 (photopolymerization) 반응등이 있고 collagen 같이 자연에서 얻는 천연생성물도 있다.

1) 회전주조법(spin casting):원심회전주조법

→ 회전하는 mold에 렌즈의 원료인 HEMA인 액체에 주입하여 회전 속도에 의해 틀 표면에 퍼지게하고 동시에 자외선으로 중합. 회전율에 의해 렌즈의 도수가 결정 즉 금형을 회전시키면서 렌즈를 만드는 것으로 중력과 원심력, 표면장력등 의 작용하는데 이힘을 적절히 이용하여 렌즈의 디자인을 결정.

․전면 - 주형의 곡선에 의해 결정, 모양이 항상일정

․후면 - 틀의 모양, 속도등에 의해 모양이 결정

◈ 장점 ; 빠르고 재생산이 가능, 렌즈 가장자리가 얇고 편안함

◈ 단점 ; 도수에 따라 후면 커브가 다르므로 광학부, 베벨, 중심두께, 직경 등 조절이 어려움

2) 선반절삭법(lathe cutting)

→ 액상의 원자재를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하여 이물질과 반응억제제 (inhibitor)등을 제거한후 적당한 반응조건에서 중합시켜 고상의 재료를 만든 후 선반으로 절삭가공하고 연마기로 표면처리를 하여 제품을 만드는 방법.

하드 C.L를 제조할 때 쓰이는 방법, soft C.L는 수화과정이 필요, 기본만곡, 주 변부만곡등에 따라 뒷면을 깎고 C.L의 도수를 고려하여 앞면을 깎는다. 근시 도수에 따라 가장자리 두께가 달라진다.

◈ 장점 : 적은 양이나 주문생산에 유용

◈ 단점 : 노동집약적-고비용, 재생이 불가능

3) 주형주조법(cast molding):캐스트몰딩법

→ 렌즈의 앞면(오목형)과 뒷면(볼록형)의 형태를 가진 틀속에 렌즈의 원료를 주 입하여 자외선으로 중합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monomer를 채우고 눌러서 알 맞게 고정시키는 2개의 암수금형이 필요하며 이것을 중합고형화 시키면서 렌 즈를 찍어서 만드는 방법. 간단하고 재생산이 가능, 저비용으로 빠른 속도와 많은양을 생산. 전면과 후면의 커브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균일한 품 질의 렌즈를 대량생산할수 있다. 일회용렌즈에 많이 사용.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제 5 장. Soft contact lens 함수율과 임상과의 관련

⇒ 현재 사용되는 렌즈이 대부분은 38~45%의 함수율을 가지는 HEMA(hydroxymethyl methacrylate)이다

1) 고함수율과 비교하여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의 장점

a. 장력(tensile)이 크다

b. 파손의 우려가 적다

c. 수명이 길다

d. 제조가 쉽고 재생이 가능하다

e. 눈에서 렌즈의 탈수가 적다

f. 렌즈관리용액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적다

g. 사용에 따른 렌즈의 변색이 적다

2) 고함수율과 비교하여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의 단점

→ 저함수율 콘택트렌즈와 관련한 대부분의 단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Dk 값에서 야 기되는 문제점이다.

a. 각막부종

b.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신생혈관

3) 저함수율과 비교하여 고함수율 콘택트렌즈의 장점

a. 재료의 부드러움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b. 적응력이 빠르다

c. 연속착용에 좋다

4) 저함수율과 비교하여 고함수율 콘택트렌즈의 단점

a. 수명이 짧다

b. 파손의 우려가 크다

c. 침전물 형성이 높다

d. 사용에 따른 렌즈의 변색이 많다

e. 시력이 일정하지 않다

f. 렌즈관리용액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많다

h. 눈에서 렌즈의 탈수가 쉽게 일어난다

5) 소프트 콘택트렌즈 두께와 임상과의 관련

→ -3.00D 굴절력을 가진 HEMA 렌즈의 표준 각막직경에 대한 전형적인 렌즈의 중심두께는 0.10~0.14mm 범위이다. 중심두께가 0.10mm 보다 얇은 렌즈는 ‘thin', 0.07mm 보다 얇은 렌즈는 'Ultra thin', 그리고 0.05mm 보다 더 얇은 렌즈는 ’Hyper thin' 으로 간주되고 있다. 두께가 얇은 렌즈는 Dk/t(thransmissibility)가 증가하고 생리적 핏팅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채 깜박 잠이 들어도 고유의 안전요소를 제공하기도 한다

(1) 두께가 얇은 콘택트렌즈의 장점

→ 중심두께뿐만 아니라 전체 렌즈두께를 고려해야한다

a. 부종의 발생이 낮다

b. 렌즈의 얇은 가장자리로 인해 안검과 윤부에 자극이 줄어든다

c. 만약 환자가 렌즈를 착용한 채 잠이 들었을 경우에도 안전하다

(2) 두께가 얇은 콘택트렌즈의 단점

a. 특히 -2.00D 이하의 마이너스 굴절력에서 렌즈를 다루기가 어렵다 b. 표준 두께의 렌즈보다 파손율이 높다

c. 수명이 짧다

d. 토릭 각막에서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e. 렌즈가 눈에서 탈수될 경향이 크다

** 후면정점굴절력

콘택트렌즈가 On K 보다 가파르게 핏팅되었다면 플러스 누액렌즈가 형성되고, On K 보다 편평하게 핏팅되었다면 마이너스 누액렌즈가 형성된다.

예: 안경처방 : -3.00D

K값 :8.00mm@180

7.95mm@90

(1)후면광학부반경:8.1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 -0.50D 덧댐굴절검사=-0.5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2.50D

(2)후면광학부반경:8.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plano 덧댐굴절검사=-1.0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3.00D

(3)후면광학부반경:7.90mm 시험렌즈:-2.00D 누액렌즈=+0.50D 덧댐굴절검사=-1.50D

→최종후면정점굴절력=-3.50D

※임상적 등가원리:렌즈곡률을 0.05mm 변화시킬때마다 렌즈굴절력이 0.25D씩 변화된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과 누액의 생리  (0) 2011.07.21
C.L의 제조방법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0) 2011.07.21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2011.07.21

제 4 장.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1) 밀도(Density)

→ 부피에 대한 질량의 비를 밀도(g/cm³, kg/m³)라고 하며, 물의 밀도에 대한 다른 물체의 상대밀도를 그 물체의 비중(specific gravity) 라한다. 밀도는 재질의 강도 와 굴절율 및 함수율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HEMA 나 그보다 더 친 수성인 monome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경우 밀도는 함수율 증가에 따라 감 소하며, 소수성의 monomer를 포함하면 낮은 함수율을 가진 거의 단단한 형 태의 재료로 대단히 높은 밀도를 가진다.

Hard C.L ; 1.19 soft C.L(W.C=30-40%) ;1.13-1.16 soft C.L(W.C=70%) ; 1.07 2) 굴절율(Refractive index:n)

→ 재료의 굴절지수가 높을수록 광학의 질도 우수해지며, 이것은 C.L의 도수가 굴절 율과 비례하며, Power curve 와 Base curve 차이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얇은 렌 즈를 만들 수 있다.

soft C.L의 경우, 굴절율은 재질에 따라 약간 다르나 일반적으로 밀도와 같이 함 수율에 반비례한다.

→ Hard C.L ;1 49 Soft C.L(W.C=30-40%) ; 1.43-1.46 soft C.L(W.C=70%) ; 1.39

3) 산소투과성(Oxygen permeability; Dk)

→ 각막은 눈물, 윤부혈관, 결막혈관, 눈물에 녹아있는 대기중의 산소로부터 산소 를 공급. 개검시 산소분압은 155mmHg이며 폐검시는 상검결막의 혈관으로부터 산소를 공급 받으므로 각막 표면의 산소분압은 55mmHg로 떨어진다. 렌즈의 재료 가 높은 산소투과성을 가지면 보다 안전하며 좋은 착용감을 갖게된다.

soft lens의 산소투과성은 재질의 구조내에 pore size가 영향을 줄 것이며, hydrogel soft C.L의 경우 그 재질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로 인해서 산소투과 성을 가진다. 이것은 주로 함수율과 렌즈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산 소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L를 얇게하고 함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 어야한다. soft lens에서 가장 높은 산소투과성은 약 40으로 RGP 렌즈에서 가장 높은 산소투과성의 약25%이다. 산소투과계수와 렌즈의 두께에 의해 산소투과도가 결정되는데, 산소 투과도는 C.L 두께에 반비례한다.

※ 산소투과도 결정은 solubility 와 diffusion이다.

D : diffusion coefficient, 렌즈재질 자체의 산소에 대한 확산계수:cm2/sec

K : solubility coefficient, 렌즈재질의 산소 용해계수: ㎖(O2)/cm3․mmHg

즉 Dk = D x k

Dk = 산소투과계수 ; 10-11 (cm x ㎖(O2)/(sec x ml x mmHg)

4) 산소운반율(Oxygen transmissibility ; DK/t)

→ 콘택트렌즈를 통해 전달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산소투과성을 콘택트렌 즈의 중심두께로 나눈 값, 10-9 (cm x ㎖O₂)/(sec x ㎖ x mmHg)

0.1mm

산소전달률 = 산소투과성 × -----------------------

콘택트렌즈의 중심두께(mm)

☛ 동일한 재질로 만든 콘택트렌즈라도 두께가 두꺼우면 산소투과성은 같더라도 산소 전달률은 낮아진다.

5) 당량산소백분률(E.O.P:Equivalent oxygen performance)

→ 렌즈의 산소투과도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으로 EOP가 사용, 대기중 산소의 % 농도로 표시한 값으로 렌즈가 산소를 다 투과시키면 20.9% 가된다. 즉 각막과 콘택트렌즈사이의 눈물에 녹아있는 산소량을 대기중의 산소의 %로 표시한 값이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막이 대기 중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산소량은 20.9 %이고, 눈을 감은 상태는 대기중의 산소가 누액에 녹지 못하 므로 결막으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데 이때의 산소량은 약 8% 이다. 각막부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EOP가 9.9%(DK/t=24.1)이상이어야 하며 밤중에 각막이 팽 윤 되지 않으려면 17.9% (DK/t=87) 이상 이어야 한다.

콘택트렌즈가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각막표면에 얼마만큼의 산소가 도달하는가를 나타내므로 실제 임상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6) 함수율(water content)

물의 무게 × 100

함수율(%) = -----------------

soft lens의 무게

☛ 50%를 기준으로 미만은 저함수, 이상은 고함수로 분류. 함수율이 증가하면 렌 즈재질의 강도와 굴절률은 감소하고 침착물이 잘 생기며 산소투과성과 렌즈재 질의 구멍크기는 증가.

7) 습윤성(wettablility)

→ 고체의 표면에 액체를 한방울 떨어뜨렸을 때 액체가 표면에 퍼지는 정도. 한방 울의 액체표 면과 고체표면이 이루는 각도를 접촉각이라한다. 친수성이 강할 수록 0°, 소수성이 강할수록 180°에 가깝다. 접촉각이 0° - 90° 사이면 친수성 (hydrophilic)으로 간주, PMMA는 60° silicone 110°

8) 침투성(permeability)과 다공성(porosity)

→ soft lens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분포, 분자구조의 배열상태가 느슨 해지면 구멍의 크기가 커져서 잘 침투. 분자구조 사이의 구멍의 크기로 렌즈의 침 투성과 다공성을 결정.

9) 렌즈에 작용하는 역학적 요인

a. 액체인력(fluid attraction)

→ 누액은 액체인력에 의해 표면장력이 생기는데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이 축소 되려고 하는힘이다. 렌즈와 각막사이에서 누액이 갖는 표면장력은 누액층의 두 께에 반비례한다.

flat fitting 의 경우 렌즈밑의 중심부보다 주변부에서 누액층이 가장 두꺼워지 고 표면장력이 낮아져서, 렌즈가 잘움직인다. 반면 steep fitting의 경우 중심부 에서 누액층이 가장 두꺼워지고 표면장력이 가장 낮은 상태가 된다. 결과 렌즈 가 움직이기 쉬운 상태가 되지만, 실제로 렌즈가 잘 움직이지는 않고 일반적으 로 중심잡기가 양호해진다.

b. 중력(gavity)

C.L의 중력중심은 전면쪽으로 이동할수록 렌즈가 각막 중심위에 위치하기가 어려워진다. 플러스렌즈에서는 굴절력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직경이 감소하거 나 렌즈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B.C가 flat 해지면 중력중심이 렌즈 전면쪽으로 이동한다. 마이너스 렌즈는 굴절력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렌즈의 두께가 감소하거나 B.C가 steep 해지면 중력중심이 렌즈의 후면쪽으로 이동

c. 안검장력

상안검과 C.L와의 관계, 상안검이 렌즈에 가하는 힘이 강하면 렌즈가 심하게 움직인다.

d. 마찰력(frictional force)

C.L와 각막사이에 존재하는 눈물의 점도(viscosity)에 의해 생기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C.L가 각막위에서 정지할수 있다. C.L가 각막위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 지시키려면

- 렌즈의 광학부직경이나 전체크기를 증가

- B.C의 곡률반경을 짧게

- 주변부커브의 곡률반경을 짧게

- 렌즈의 두께를 얇게

e. 렌즈의 굴절력

+굴절력의 렌즈인 경우 중심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 로 쳐진 상태

f. 기타

각막팽윤은 착용후 3시간후에는 감소하지만 일반적으로 착용 3시간후 8% 팽 윤이 나타나면 tight fitting 이 원인, 10%이상일때는 각막에 산소공급이 완전 히 막혔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의 제조방법  (0) 2011.07.21
Soft contact lens 함수율과 임상과의 관련  (0) 2011.07.21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역사  (1) 2011.07.21

제 3 장.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1) Spherical lens

① Monocurve lenses

→ 후면에 단일커브를 갖고, 도수에 따라 전면의 만곡도가 정해짐 즉 전면커브를 굴 절력 커브라 하며, 후면이 하나의 커브로 되어있는 렌즈

② Bicurve lenses

→ 전면광학부에(optical zone)에 있는 power curve와 렌즈의 balance를 위해 만들어 진 전면주변부에 front curve가 있는 즉 중심부커브와 주변부 커브로 분류

③ Tricurve lenses

→ 이물감을 줄이고 착용감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하여 bicurve lens의 front curve 끝 부분에 전면 주변부 커브를(anterior peripheral curve, APC)를 넣은 즉 후면이 3 개의 커브로 되어있는 렌즈, 중간커브는 제2커브, 주변부커브는 3개의 커브중에서 만곡도가 가장 낮은렌즈.

2) Cylinder lens(Toric lens)

① Truncated lens

렌즈의 하단 또는 상하단 부분을 잘라놓아 눈꺼풀에 의해 렌즈 를 고정시키는 디자인으로, 렌즈의 절단된 부분이 두꺼워 민감 한 눈꺼풀에 의해 불편함을 호소. 보통 렌즈의 아래쪽 가장자리 로부터 0.5 - 1.5mm 정도절단.

② Prism ballast lens

0.75 - 2.0 prism BD 프리즘을 가입시켜서 소프트렌즈가 회전되 지 않도록. 렌즈를 착용했을 때 회전과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막 기위해 렌즈 상단을 얇게, 하단부분을 두껍게 하여 만든 토릭렌 즈. 상하의 두께차로 생긴 프리즘으로 인해 아래쪽에 무게 중심 이 있게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축을 맞추는 렌즈.

③ Double thin zone lens(Dynamic stabilization)

소프트토릭렌즈의 상하단부를 얇게해서 얇은부위가 안검에 의 해 렌즈를 고정하는 안정화 방법이다. 이 디자인은 중심부가 두꺼우나 착용감이 좋고, 광학적으로 양호하며, 안정성도 양호한 편이다.

④ Back toricity

각막난시가 3.00D 이상인 경우 특히 후면토릭이 좋다. 광학부에만 한정된 토릭커브가 가장자리의 두께차이를 감소시켜 순목시 안검 이 렌즈를 회전시키는 효과가 최소로 되도록한다. 난시도가 적은 경우 전면 토릭렌즈가 좋고 난시도가 1.50D 또는 그이상일때는 후면 토릭렌즈가 좋다

*** 난시축 교정법: CATS or LARS

3) 세부명칭

① 기본만곡(base curve, BC)

곡률반경을 말하며 렌즈의 내면 곡률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 C.L 뒷면의 광학부에 해당하는 곡선, mm 단위로 표시, BCR이 증가 시 기본만곡이 flat 해졌다하고, 반대인 경우 steep 해졌다 한다. BCR 반경이 0.1mm 증가시 도수는 0.5D씩 감소

※ fitting 개념으로는 apical clearance(C.L의 B.C가 K값보다 약간 더 steep 한 렌즈를 피팅하여 각막과 렌즈의 정점사이에 약간의 간극 이 생기도록 하는 것으로 PMMA에 사용), apical alignment는 렌즈 의 B.C가 각막면을 따라가듯이 렌즈를 피팅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렌즈의 직경이 커질수록 렌즈의 광학부 곡률반경을 더 flat 하게 바 꾸어주어야한다 이유는

a. 각막의 만곡도는 주변부로 갈수록 더욱 편평해진다

b. 직경에 따라 호의 수직깊이(sagittal depth)가 변화한다

② 주변부만곡(peripheral curve)

→ 광학부 바깥부분에 해당하는 만곡, 대개 1~3개의 구면만곡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하나의 비구면만곡으로 이루어진다. 만곡의 폭은 C.L 전체직경의 20~35% 정도이며 만곡이 너무 편평하면 C.L edge lift가 증가

※ linear clearance란 렌즈주변부의 후면에서 각막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하며 광학부 직경이 똑같은 렌즈라도 B.C가 더 steep 한 렌즈 에서 linear clearance가 더 적다.

** 주변부 커브의 작용

a. 누액이 흐를수 있는 통로

b. 렌즈의 rocking 작용

c. 주변부커브와 각막사이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누액이 저장되 도록 하는 작용

→ 각막 중심부에 부종이 있는 경우 주변부 커브를 더 flat 하도 록 하거나 폭을 넓혀주면 사라진다

③ 전체직경(overall diameter ; OAD)

→ 광학부직경 + 주변부 만곡의 폭, RGP는 대략 7.5~10.0mm 범 위, 9.2~9.4mm의 전체직경이 널리 사용. 일반적으로 size라 하 며 측정방법은 contact screen 등이 있다. 전체직경은 각막의 크 기에 근거하여 가시홍채직경보다 2.0mm 작게 설계하기도 한다.

④ 광학부직경(optical zone diameter ; OZD)

→ 기본만곡에 해당하는 부위, 전체직경의 65~85%를 차지, 7.6~ 8.3mm의 광학부직경이 보편적으로 사용.

⑤ 블렌드(blend)

→ 렌즈뒷면의 각 만곡사이를 완만하게 처리한 경계부 즉 베이스커 브와 주변부 커브의 경계부를 매끄럽게 처리한것. C.L가 각막위 에서 잘 움직이도록하고 C.L와 각막사이의 눈물이 잘 교환되도 록 하기 위함.

⑥ 가장자리디자인(edge shape)

→ C.L의 끝부분즉 가장자리부에서 전면과 후면이 접하는 부분을 edge라 하며, 주변부 만곡들의 반경과 폭, 렌즈 모양 디자인등 에 의해 결정되며 C.L의 중심잡기와 착용감에 중요. edge의 이 상적인 모양은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가늘어지고 그 앞뒤면이 부드럽게 처리되며 가장자리 들림이 적당해야한다.

⑦ 중심두께(Center thickness, T)

→ 렌즈의 중심두께는 광학적으로 + 렌즈에 비해 - 렌즈가 얇다. 또한 -렌즈는 도수가 높을수록 얇고 + 렌즈는 그 반대이다. 두 께가 두꺼우면 광학적인 성능은 좋아지나 착용감과 산소투과도 가 극도로 저하되므로 알맞은 두께를 가져야한다. 보통 - 렌즈 의 경우, Hard type의 중심두께는 0.10~0.30mm 정도이고, soft lens은 0.03~0.12mm 정도.

⑧ 눈물렌즈(tear lens, lacrimal lens)

→ RGP렌즈와 각막사이에 생기는 눈물층, 굴절률은 1.333 눈물층 도수는 C.L의 기본만곡과 각막곡률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각 막곡률치보다 기본만곡이 가파르면 눈물렌즈가 플러스 도수를 갖게되므로 C.L의 처방시 이도수만큼 C.L도수에서 빼주어야하 고, 각막곡률치보다 기본만곡이 편평하면 눈물렌즈가 마이너스 도수를 갖게되므로 이도수만큼 C.L의 도수에 더해주어야한다.

**각막 곡률반경의 측정

1. 중심부 각막곡률 측정법

『순서』

Keratometer에 의한 방법

1. 이마대는 위치에 하얀종이를 대고, 중앙에 보이는 + 자가 확실히 보이도록 해서 시도조정을 행한다.

2. 피검자의 턱을 턱받침대에 얹고, 이마를 받침대에 딱 붙이도록 지시한다.

3. 좌안을 차폐한다.

4. Keratometer를 비스듬히 위에서 보면서 마이야 상이 대체로 각막 중심부에 보이 도록 본체를 상하, 좌우로 조정한다.

5. 접안렌즈를 들여다 보면서 혹 +자가 중앙원의 중심에 보이도록 본체를 조정한다.

6. 피검자에게 본체의 통안에 비친 자신의 눈을 보고있도록 지시한다.

7. 중앙의 원이 이중으로 보이는 경우에는, 그 원이 하나로 되도록 Keratometer 본 체를 전후로 이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8. 수평방향의 곡률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앙원의 좌측 plus 부호와 원의 우 측 plus부호가 겹쳐지도록 수평 다이알을 돌린다.

9. 이때 2개의 plus 부호가 기울어져서 포개지지 않는 경우에는, 접안렌즈를 들여 다 보면서 plus 부호의 횡선이 연속 될 때까지 거울통전체를 회전해서 수평다 이알을 돌린다.

10. 수직방향의 곡률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앙원의 하측 minus 부호가 포 개지도록 수직 다이알을 회전시킨다.

11. 좌안도 마찬가지로 측정한다.

『기록』

편평한(flat) K값 @ 경선 r1 @ 경선

가파른(steep) K값 @ 경선 r2 @ 경선

예 44.00D @ 180 r1 = 7.67mm @ 180

45.50D @ 90 r2 = 7.50mm @ 90

-------------------

Ac:-1.50D x 180

1.3375-1.0 1.3375-1.0

r1 = --------- x 1000 r2 = ----------- x 1000

Flat K 값 Steep K 값

『참고』

1. 눈 : 각막 45D + 수정체 19D = 60D

각막이 굴절력의 대부분을 차지함.

2. 주경선의 방향에 의한 정난시의 분류

․직난시 → 강주경선이 90도방향 (수직방향)

․도난시 → 강주경선이 180도 방향(수평방향)

․사난시 → 강주경선이 대각선인 경우

3. 케라토미터의 원리

원래 피검자의 눈에는 1개의 상을 비추어 보여지는 마이어상을 doubling prism을 사용해 서 3개로 분리.

A. 각막의 굴절력이 강하면 각막안의 상은 적게된다.

1) 각막이 steep 굴절력이 강하면 상이 적게 되기 때문에 간격은 넓어진다

2) 각막이 normal 마이어상의 간격이 적당

3) 각막이 flat 굴절력이 약하면 상은 크게 되기 때문에 간격은 좁아진다

B. 각막의 형상이 원형이면 상은 정확히 원이 되어 비추어진다.

그러나 각막이 타원형이면 상도 타원형이 되어 비추어진다.

1) 직난시 → 수평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간격은 넓으나, 수평방향의 간격 은 좁다

2) 도난시 → 수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간격은 좁고, 수평방향의 간격이 넓다.

4. 케라토미터의 이용

1) 주경선의 발견

a. 정난시 : 양주경선의 간격이 90도 떨어져 있는 것

b. 부정난시 : 양주경선의 간격이 90도 이외인 것 → 원추각막

c. CL의 BC 결정시에 참고 data를 얻을 수 있다

d. 자각 굴절검사의 신뢰성이 낮을 경우 처방의 참고 data를 얻을 수 있다.

※ 전난시 = 각막난시 + 수정체 난시

2) 부정난시와 원추각막의 발견

→ 부정난시와 원추각막은 각막곡률계에 의하면 상의 찌그러짐과 곡률의 정도에 의해 발견되고 원추각막을 측정하면 진행정도도 기록할 수 있다.

3) 강도굴절 이상에서의 난시 측정

→ 굴절이상의 정도가 커서, 검영법 등에 의해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 각막 곡률계로 의해 측정된 난시도와 축이 참고가 된다.

4) 투광체에 혼탁이 있는 경우

→ 투광체에 혼탁이 있고 타각적으로 안구내에 광선을 투입해서 굴절이상치를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각막곡률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5) 수정체 변화의 발견

→ 각막난시의 변화가 얼마 안되면서, 전난시가 크게 변화한 경우, 수정체의 생리적인 난 시변화를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간접적으로 백내장등에 의한 수정체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6) 굴절이상의 요인

․각막의 굴절력 → 안 전체 굴절력의 80% 차지

․ 수정체의 굴절력 → 안 전체 굴절력의 20% 차지

․장기적으로 측정했을 때 각막의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수의 변화가 있었다면

․안축의 길이는 신장과 같이 20세가 지나면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수정체에 이상이

있다고 예측

7) 굴절성 또는 축성 굴절이상의 구별

* 양안의 케라토측정치가 거의 같음에도 굴절이상이 있다......축성

예) K값 → 좌;45.00D, 우;45.00D

도수 → 좌;-3.00D, 우:PL(정시)

⇒ 이러한 경우는 안경으로 교정

* 양안의 케라토측정치가 틀리고 굴절이상이 있다.....굴절성

예) K값 → 좌;45.00D, 우;42.00D

도수 → 좌;-3.00D, 우;PL(정시)

이러한 경우는 C.L로 교정

8) 난시의 종류

a. 전난시 → 자각적 굴절검사 또는 타각적 굴절검사에 의해 검출된다

b. 각막난시 → 각막전면에 존재하는 난시로 임상적으로는 keratometer 에 의해 측정된 난시를 각막난시라한다 (통계적으로 각 막에는 직난시, 수정체에는 도난시가 많다, 그러나 나 이를 먹으면 변화는 도난시쪽으로 변한다. 이유:수정 체의 변화가 각막의 변화보다 크기 때문)

c. 수정체난시(잔여난시=생리적난시)

ⅰ) 각막이외에 있는 난시(수정체에 있는 난시를 포함)를 계산적으로 표시

: 수정체, 각막이외에 있는 난시는 비율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정체시에 포함

ⅱ) 수정체난시

10대 → 0.25~0.50D의 도난시

30~40대 → 0.75~1.00D의 도난시

평균적으로 0.25~1.00D

9) 각막난시와 전난시가 불일치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a. 생리적 수정체난시

b. 각막후면의 난시

c. 안방수의 굴절효과

d. 정간거리에 의한 굴절효과의 차이

10) 각막곡률계에 의해서 측정된 난시와 최종적으로 교정렌즈로 처방된 난시와는 가끔

도수, 축 부호가 다른 것이 있다. 이는 수정체 난시의 존재 때문이다.

전난시 = 수정체 난시 + 각막난시

(측정가능) (측정불가) (측정가능)

통계적으로 -0.50 AX90

+0.50 AX180

11) 난시의 교정

→ 안경이나 C.L를 착용하는 사람의 약45%는 0.75D 이상의 난시가 있고 약25%는 1.25D 이상의 난시가 있다고 한다.

ⅰ) 잔여난시

→ 대부분 굴절난시와 각막난시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이때는 잔 여난시를 고려해야한다. 굴절난시에서 각막난시를 뺀 나머지를 잔여난시라고 하는데, C.L의 처방에서는 구면의 RGP 렌즈를 끼운후 덧댐굴절검사를 시행했 을 때 나타나는 난시를 말한다.

ⅱ) 굴절난시와 각막난시가 비슷한 경우(잔여난시가 거의 없는 경우)

< 난시가 2.5D 이하일 때 >

→ 구면의 RGP 렌즈를 착용함이 가장 무난, soft toric도 가능, 난시도수가 1.0dipter 이하이고 근시도수의 1/3이하라면 표준두께의 soft C.L를 착용 하여도 난시가 상당히 교정

< 난시가 2.5D를 넘을 때 >

a. soft toric lens

→ 착용감이 나쁘고 교정시력 우수하지 못한편

b. 구면 RGP렌즈

→ 플로레신 염색상태가 괜찮으면 덧댐굴절검사를 하여 잔여난시를 측정한 다 음 추가로 난시교정이 필요한가 결정. 잔여 난시가 0.75D 넘으면 눈피로증 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이때는 구면 RGP렌즈를 착용한 위에 난시안경 을 교정하거나 비구면 RGP 혹은 toric RGP 렌즈를 사용

c. 비구면 RGP렌즈

→ 구면 RGP 렌즈보다 중심잡기가 잘되고 렌즈 뒷면이 각막면과 잘 맞아 플 로레신 염색형태가 균일하다. 불규칙 각막난시나 각막의 변형이 있는 경우 에는 좋으며 4.0D 이상의 매우 심한 각막난시는 교정이 힘들다.

d. 토릭 RGP렌즈

→ 각막난시가 심한 경우에는 후면토릭이나 양면토릭 RGP 렌즈를 사용한다.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ft contact lens 함수율과 임상과의 관련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역사  (1) 2011.07.21
써클렌즈  (0) 2011.07.21

제 2 장.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콘택트렌즈의 종류

(1)재질에 따른 분류

A. Hard lens materials

a. 가스불투과성 재질:Poly(methyl methacrylate)

:대표적인 것이 PMMA이며 MMA 모노머로 구성된다.

◈ 장점 :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색이 잘변하지 않으며 제조가 용이

◈ 단점 : 습윤성, 산소투과성이 좋지 않다, 각막부종, 각막미란등이 생긴다

b. 가스투과성재질:

ⅰ) Cellulose acetate butylate(CAB)

→ cellulose의 alcohol group을 초산(acetic acid)과 부틸산(buthylic acid)으로 esterification 반응을 시켜 얻는다. 에스테르화 시킬 때 반응조건을 달리해 서 물성이 다른 CAB를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재료는 높은 산소 투과도를 갖는다. 1974년 처음으로 콘택트렌즈로 제조. 요즈음 거의 사용 하지 않음.

◈ 장점 : 가스투과성이 양호,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주조(mold)공법으 로 제조

◈ 단점 : 습윤성이 낮다, 교차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습윤상태에서 왜 곡 될 수 있다.

ⅱ) Siloxanyl/methacrylate

→ MMA를 methyl ester 대신에 siloxanyl moiety로 구성된 중합체. 실리콘 유도체는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siloxanyl group에 의해 산소투과성 을 높이고, 친수성의 수산기(hydroxy group-OH)를 가진 형태로 많이 사용.

◈ 장점 : siloxane 성분으로 가스투과성 양호, 재질이 견고

◈ 단점 : 습윤성이 좋지않아 친수성모노머를 첨가시켜야 한다

ⅲ) Fluorosilicone-acrylate ;FSA

→ 불소화된 단량체를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에 첨가하여 만듦. 불소화합물로 인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낮은 굴절력을 갖는다. CAB보다 산소투과 율 2배정도 높다.

◈ 장점 : FSA는 점액과 친화성이 있어 눈물에 잘젖고 침착물이 잘 생기지 않으므로 건성안 환자도 잘 낄수 있다.

ⅳ) 연성 불소 중합체(flexible flouropolymer ; FFP)

: 불소만 45~50% 함유.

◈ 장점 : 산소투과성이 높고 렌즈의 표면처리를 하지 않아도 렌즈표 면이 물에 잘 젖고 오염물질이 잘 붙지 않으며 재질이 부드럽다

◈ 단점 : 값이 비싸고 각막난시의 교정이 잘되지 않아 널리 사용되 지 않고 있다

ⅴ) Styrene

→ 벤젠고리를 포함하므로 광학적으로 굴절률이 높고(n=1.59, PMMA의 n=1.49), 비중이 낮아서 렌즈가 가볍고 얇아 물에 뜬다, 다른 RGP 렌 즈보다 물에 잘 젖고 재질도 강하다.

◈ 장점 : 원추각막이나 각막의 외상으로 각막에 불규칙 난시가 있을 때 좋다

◈ 단점 : 중심부와 주변부 사이가 잘찢어지며 값이 비싸다

B. Soft lens material

렌즈의 촉감이 부드럽고 매우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 hydrogel 렌즈, 친수성기가 재질내에 존재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는 polymer로 구성. 함수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

low water content = less than 45% H₂O

medium = 45~60% H₂O

High = more than 60%H₂O

* FDA classification

low = less than 50%H₂O

high = more than 50%H₂O

ⅰ) Dimethyl siloxane (Silicon rubber)

→ 대표적 의료용 고분자중 하나로 높은 산소투과성 때문에 C.L 재료로 사 용. 비함수성 soft재질로 유연하고 안정하며 광학적으로 우수, 흡습성이 적고 오염이 잘되는 결점.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기 위해 메틸기(-CH₃)를 수산기로 치환하거나, 친수성 monomer로 공중합하거나 친수성 side chain을 가진 것으로 블 록공중합(block copolymerization).

ⅱ) Butyl acrylate(Butyl rubber)

→ 산소투과성이 CAB와 거의 비슷하며 연속 착용렌즈재료로 기대.

ⅲ) Hydroxy alkyl group

→ 2-HEMA는 1960년경에 최초로 수화된 soft lens로 사용, 현재 가장많이 사용되는 재질중 하나. side chan에 있는 수산기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약30~40%정도의 함수율을 가진다. PHEMA는 광학적으로 도 우수한 투명도 97%, 굴절율 1.43으로 독성이 없으며 유연하고 안정 한 고분자. 함유하고 있는 물로 인해 산소투과성이 있어 종래의 PMMA 를 기초로 만들어진 hard C.L에 비해 좋은 착용감과 생체적합성을 가 진다. Isobythyl methacrylate(BMA), Ethoxy ethyl methacrylate(EOEMA)등과 합성하여 재질을 강화시키거나, N-vinyl pyrrolidone(NVP)이나 Acryl amide등과 공중합시켜 함수율을 높이는 등의 시도가 연구.

◈ 장점 : 함수율이 높아 대기로부터 누액에 용해된 산소가 렌즈재질 사이에 존재하는 물에 녹아 각막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점

◈ 단점 : 견고하지 못하므로 렌즈가 두꺼울 때 충분한 양의 산소가 통과하지 못한다

ⅳ) Vinyl pyrrolidone(NVP)

→ NVP는 락탐고리를 포함하는 구조로 생체조직과 비슷하며, 많은 물을 흡수하므로 PHEMA와 같이 대표적인 함수성 C.L 재료이다. 고함수율 을 갖는 재료로 적당한 반응조건으로 50~80%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함수율을 가질 수 있으며, 산소투과도도 높다.

NVP는 재질의 강도가 다소 떨어지며 변형변색의 우려가 있고 단백질 의 흡착이 잘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ⅴ) Poly ethylene glycol group

→ side chain에 ether bond,( -C-O-C-)을 가지고 있어, PHEMA보다 높은 함수율을 가진다. 이것은 2-HEMA에 ethylene oxide을 첨가하여 합성하 는데 실용화되고 있지는 않다.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는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부분 즉 탄소와 탄소사이의 2중결합을 2개 가지고 있으므로 고분자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긴사슬과 다른 사슬 사이 를 연결하는 교차결합(cross-link)을 형성할 수 있어 대표적인 교차결합제 (cross-linking agent)이다. EGDMA 이외에도 Tri-methyl propane trimethacrylate(TMPTMA)가 사용.

ⅵ) Methacrylate salt group

→ Na+ 이나 K+이온을 포함하는 Methacrylate 염의 경우, 매우 강한 흡습 성을 보이며, Ca²+ 과 같은 2가 이온의 첨가에 의해 물을 흡수하는 용 량은 더욱 커진다. pH에 의한 변화가 심하다.

C. 콘택트렌즈 재료의 혼합과 교차결합제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는 polymer chain을 유지 시켜주 며, 적은 양으로도 C.L 재질의 일반적인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 친다. EGDMA에의한 HEMA chain의 교차결합

D. 소프트렌즈의 재료조성과 함수율

(2) 기능에 따른 분류

* One-day

* Disposable(1회용)

* Extended-wear(연속착용)

* Sclear lens

* Medical treatment lens

* Toric contact lens

* Tint contact lens

* Bifocal or multifocal lens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  (0) 2011.07.21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역사  (1) 2011.07.21
써클렌즈  (0) 2011.07.21
콘택트렌즈  (0) 2010.04.13
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3:12

콘택트렌즈의 역사


제 1 장. 콘택트렌즈의 역사

1) 콘택트렌즈 발달의 주요사건

①1508년 Leonardo da Vinci 가 처음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기술.

②1823년 영국 천문학자 John F.W.Herschel은 젤라틴을 가득채운 작은 유리원판을 각막에 부착하였는데 각막의 신진대사 장애로 심한 자극을 일으켜서 실패

③1887년 F.A.Muller가 처음으로 실질적인 콘택트렌즈를 만듦, 얇은 갈색 유리껍질을 만들 어 환자의 노출된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만듦......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

④1888년 Kalt는 원추각막을 위한 유리 콘택트렌즈를 만들었는데 이는 앞으로 밀려나온 각 막을 눌러서 편평하게 만드는 것으로 시력이 좋아 지는 것을 발견

⑤최초의 실용적인 콘택트렌즈는 직경 22mm로 큰것이었으나 Sulzer에 의해 11mm, 13mm로 작아졌다....산소결핍으로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하지 못함

⑥1937년 Polymethylmethacrylate(PMMA)렌즈를 재료로 하드콘택트렌즈를 만들어 유리재 질과 대체

⑦1948년 Kevin Tuohy가 PMMA를 이용한 각막렌즈를 개발...처음으로 편안한 렌즈를 만 들어 사용, 결과 다양한 디자인의 PMMA 각막렌즈가 출현

⑧1960년 Wichterle와 Lim은 부드럽고 산소투과가 가능한 합성물질인 새로운 소재 Hydroxyethymethacrylate(HEMA)합성 성공하여 다양하게 사용.

→Wichterle의 기법은 1971년 미국의 승인된 soft contact lens로 사용...전세계적인 인기

⑨산소투과를 개선시키는 새로운 소재의 rigid(경성) lens를 연구한결과 Cellulose acetate butyrate(CAB) lens의 개발, CAB는 1978년 미국에서 사용

⑩Polycon lens 재료인 silicone acrylate는 1974년 특허를 받아 1979년 미국에 소개, silicone을 재료에 넣어 CAB에 비해 산소투과를 크게 강화

⑪이후 rigid gas permeable 재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는데 이중 fluoreosilicone acrylates 와 fluoropolymers가 돋보인다

⑫지속적인 재료 개발로 인해 silicone elastomer(rubber)렌즈가 개발 뛰어난 산소투과로 널 리 확산

국내에서는 1958년 공병우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2년간의 시험제작 끝에 성공하 였고 1968년 원료의 개발에 성공하여 1975년 의료용구로 보건사회부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1975년부터 soft C.L를 제작하여 시판.

[출처] 콘택트렌즈 정리|작성자 닥캐삭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2011.07.21
써클렌즈  (0) 2011.07.21
콘택트렌즈  (0) 2010.04.13
우리나라 안경의 역사 ^^  (0) 2010.04.13
Optometry.안경학/Eyeglasses | Posted by oum 2011. 7. 21. 11:20

써클렌즈



최근 TV 드라마에서 유명 여자 연예인들이 써클렌즈를 많이 사용하면서

연예인을 따라서 예쁘게 보일려고 써클렌즈가 붐을 이루고있다.
써클렌즈는 눈동자 가장자리에 원 모양으로 검은색을 그려 넣어

눈망을이 크고 또렷하게 보이게 하기 때문에 눈동자가 커 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요즘은 여학생들 사이에서 미용렌즈 계를 할 정도라고 한다.

눈동자 색깔을 이국적으로 바꿔주기 때문에 헤어칼라와 써클렌즈 색깔을 맞춰서 하기도한다.
요즘은 중고등학생까지 착용자가 늘고있기 때문에

눈에 염증이 생겨서 안과를 찾는 환자도 많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하루 평균 3~4명의 환자가 렌즈 부작용으로 병원을 찾는데

이들의 70%는 써클렌즈 때문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전문가 처방없이 컬러렌즈를 낄 때

영구적인 눈 손상 및 시력상실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위험성을 경고했고,

한국소비자보호원도 컬러렌즈와 써클렌즈에 대한 소비자 안전경보를 내린 바 있다.

그러면 써클렌즈는 왜 위험할까.
각막은 눈물을 통해 공기 중의 산소를 전달받는데 써클렌즈는 두꺼워서 각막과 밀착되

눈물 순환을 방해하면서 산소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각막에 산소가 차단되면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각종 균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진다.
또 대부분의 써클렌즈는 염료를 렌즈 표면에 칠해 놓아 자극이 심하고

산소 투과율이 일반 렌즈에 비해 낮다.
요즘 컬러렌즈와 써클렌즈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제품도 많기 때문에

렌즈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안과 의사와 상담을 해야한다.


그래도 써클렌즈를 꼭 끼고 싶은 사람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루 2~3시간 정도 가능한 짧게 착용하는 게 좋다.
또 사용후에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단백질 제거제로 단백질을 닦아내는 등

렌즈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콘텍트렌즈를 끼는 사람들, 이것만은 알아두자~~~

1. 렌즈를 끼고 뺄 때는 손을 깨끗이 씻고 뺀다음 철저히 세척, 소독한다.


2. 렌즈 세척제는 반드시 전문가가 추천하는 정품을 쓴다.


3. 식염수는 작은 용기에 든것을 사서 빨리 쓰도록 한다.

뚜껑을 열고 1주일이 지나면 세균이 들어가 눈에 염증을 일으킨다.


4. 식염수 대신 렌즈에 침을 묻혀서 사용하지 말 것.


5. 화장은 렌즈를 낀 뒤 하고 저녁에 화장을 지우기 전에 렌즈를 뺀다.


6. '연속작용렌즈'도 향수나 스프레이같은 분사물을 쓰지않는다.


7. 수영장처럼 균이 많은 곳에서는 렌즈를 끼지 않는다.


8. 렌즈를 낀 상태에서 향수나 스프레이같은 분사물을 쓰지 않는다.


9. 손톱은 짧게 깍아서 손톱에 렌즈나 각막이 긁히지 않게 한다.

출처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LjOk&category_id=QIA009&q=%BA%D5%20%B4%AB%B9%B0

요즘 학생들이 알아야할 사항이네요..

'Optometry.안경학 > Eyeglass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즈디자인에 따른 분류  (0)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종류와 특징  (1) 2011.07.21
콘택트렌즈의 역사  (1) 2011.07.21
콘택트렌즈  (0) 2010.04.13
우리나라 안경의 역사 ^^  (0) 2010.04.13